대전 국회의원회관 중심 캠프 운영
세종 행정수도 인프라 관련 ‘집중’
충북 핵심사업 증액 위해 힘 쏟아
충남 10조 시대 위해 막판 총력전

왼쪽부터 대전시청, 세종시청, 충북도청, 충남도청. 
왼쪽부터 대전시청, 세종시청, 충북도청, 충남도청.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국회가 2024년도 정부 예산안 심의에 돌입하면서 지역 현안 사업 정상 추진을 위한 충청권 지자체의 국비 확보전이 본격화 되고 있다.

정부가 긴축재정 기조를 내세우고 있는 만큼 지역에 필요한 국비를 따 내기 위해서는 그 어느때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수적인 상황.

대전과 세종, 충북, 충남 등 충청권 4개 시도는 지역 주요 현안 사업별 정부 예산 반영 여부를 감안한 맞춤형 전략 등을 통해 추가 국비 확보를 꾀하고 있다.

2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대전은 정부 예산안이 국회에서 최종 의결되는 시점까지 국회의원회관 등을 중심으로 국비 확보를 위한 국회 캠프를 운영 중이다.

지역 정치권과 함께 정부 부처 등과의 협조를 강화, 핵심 현안 사업 관련 정부 예산을 국회 심의 과정에서 늘려나가기 위한 전진 기지인 셈이다.

정부 예산안 미반영 사업과 신규 발굴사업, 정부안 반영 사업 중 추가 예산 확보 필요사업 등에 대한 대응이 핵심이다.

다만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대전지역 계속 사업의 경우에는 상당 부분 정부안에 포함되면서 증액 작업은 신규 사업을 중심으로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또 세종의 최대 관심사는 행정수도 관련 인프라 조성이다.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을 위한 국회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세종의사당 관련 예산을 증액시킬 수 있다는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여기에 ‘대통령 제2집무실’의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이 진행 중인 가운데, 관련 예산이 선반영될지도 관심사다.

이와 함께 2027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를 위한 ‘대평동 종합체육시설’에 대한 예산 반영도 주목된다.

아직 사전 행정절차가 완료되지 않아 정부 예산안에는 반영되지 않았지만 폐막식이 예정돼 있는 만큼 예산 반영이 시급하다.

충북은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8조 6000억 원을 확보한 상태에서 핵심 사업의 증액에 힘을 쏟고 있다.

앞서 도는 지난해 국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당초 정부 예산안 반영액 8조 1000억 원보다 3.1% 늘어난 8조 3000억 원을 확보한 바 있다.

이에 이번 예산 심의에서도 도정에 의미가 큰 신규 사업 반영과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확보가 필요한 계속 사업의 예산 증액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더욱이 국회 상임위원회 심의 단계에서는 감액을 방지하고, 예산결산위원회 단계에서는 미반영된 주요 사업들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충남 역시 지난달 31일부터 국회 캠프를 운영하며 국비 확보를 위한 막바지 총력전에 나서고 있다.

국비 10조원 시대를 열기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1757억원의 정부 예산을 이번 국회 심의 과정에서 확보하기 위해서다.

이에 도는 총 2810억원 규모의 111개 사업을 추가 발굴, 지역 국회의원들에게 협조를 요청한 상태다.

아울러 캠프를 중심으로 내년도 예산 삭감을 방지하고 증액을 이뤄낼 수 있도록 국회 심의 동향을 예의주시 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다음주 중 김태흠 지사가 직접 국회를 찾아 주요 사업의 예산 반영을 요청할 예정"이라며 "보다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내년 국비 10조 시대를 열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재·강대묵·박영문·김중곤 기자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