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정치권이 본 추석 밥상 화두

김영환 충북지사 주민소환 제천·단양 서명운동 개시 [제천·단양 시민모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김영환 충북지사 주민소환 제천·단양 서명운동 개시 [제천·단양 시민모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추석을 앞두고 충북 지역정치권이 추석 밥상 화두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민심 흐름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 추석이 내년 4월 총선을 6개월여 앞둔 시점이어서 화두의 큰 줄기는 총선이다. 사안 진행에 따라 총선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치권이 전한 관심사를 정리해봤다.

◆김영환 지사 주민소환

지난달부터 시작된 김영환 지사 주민소환을 위한 서명운동. 현재 도내 전 지역에서 진행되면서 주민소환 투표까지 이뤄질지가 큰 관심이다. 주민소환운동본부 준비위원회는 청주, 충주, 진천, 보은, 제천·단양에 지역운동본부를 꾸렸다. 다음달 11일에는 시·군 지역 운동본부와 준비위를 통합한 주민소환 운동본부가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도정 사상 첫 도지사 주민소환인 만큼 실제 투표까지 이뤄질 경우 투표결과와는 상관없이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오는 12월 12일까지 최소 전체 도민의 10%인 13만 5438명이 서명에 참여하면 투표까지 이어진다. 투표에서 전체 유권자의 3분의 1이상이 참여하고 이들 중 과반이 찬성하면 김 지사는 직을 잃는다. 투표가 무산되면 여권에, 투표가 실행되면 야권에 내년 총선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치솟는 기름값… 난방유 가계 부담

세계 최대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가 원유 감산을 하면서 하루가 다르게 국내 기름값이 오르고 있다. 청주지역 차량용 휘발유와 경유 평균가격이 지난 5월까지만 해도 1600원대와 1400원대였는데 지금은 1800원대와 1700원대를 목전에 두고 있다. 이 가격대들을 넘긴 주유소도 많다. 정부는 다음달 말 종료되는 유류세 인하조치의 추가 연장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가정용 난방연료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등유는 유류세 감면 혜택이 없다. 이로 인해 겨울을 앞둔 일반가정에서 연료비 심적 부담은 이미 시작됐다.

충북도청 [충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북도청 [충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교권 침해와 학생인권

최근 교사들의 잇단 자살로 교육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가해자로 지목된 학부모와 학생의 신상이 공개돼 논란이다. 대부분 이들에 대한 공분이 들끓고 있는 와중에 정확하지 않은 소문에 애꿎은 피해자가 발생, 이 또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교단을 바로 세워야 한다는 의견에 대부분 공감하는 분위기 속에서 자칫 학생인권 위축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많다. 교권 침해와 학생인권에 대한 치열한 밥상머리 토론이 예상된다.

◆새 피 수혈

정치권 세대교체는 내년 총선과 직접 연관이 있다. 현재 충북 8개 선거구의 국회의원은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반반씩이다. 이들 중 5선 관록을 보유하고 있는 국민의힘 정우택 의원(청주 상당)과 민주당 변재일 의원(청주 청원)은 6선 고지를 바라보고 있다. 국민의힘 이종배(충주)·박덕흠(보은·옥천·영동·괴산) 의원과 민주당 도종환 의원(청주 흥덕) 등 3명은 3선으로 충북에서 3선 이상의 중진이 5명에 달한다. 중진들은 선수를 쌓을수록 정치권에 진입하려는 신인들의 격한 도전을 받는다. 이때마다 펼치는 방어막이 ‘구관이 명관’이다. 지역 발전의 마중물인 예산을 따올 능력이 새 피보다 낫다는 항변이다. 추석 여론이 구관 수성에 쏠릴지, 아니면 신진 도전에 쏠릴지 관심이다. 국민의힘 엄태영 의원(제천단양)과 민주당 이장섭(청주 서원)·임호선(증평진천음성) 등 3명은 초선이다. 신진 축에 속하는 이들 또한 다른 신진들과 경쟁은 불가피하다. 지난 2020년 총선 때 청주 4개 선거구의 현 여당의 후보 결정은 모두 전략공천이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