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앴다가 만들었다가" 자치구 실업팀 이대론 안된다]
2010년 이후 최소 10개팀 해체됐지만
명확한 해체 기준 없어… 성적과도 무관
체육계, 똑같은 문제 반복 안된단 입장
지속 가능한 범위 내 종목·팀 정해야
미흡한 지도 감독·방만한 운영 지적도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대전지역 자치구 실업팀의 부활이 예고된 가운데 체육계 일각에선 팀 운영을 위한 체계적인 계획과 기준 수립이 동반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과거 일정한 기준 없이 실업팀의 창단과 해체를 반복하거나 사실상 팀을 방치하는 등 각종 문제가 불거진 사례가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0년 이후 민선 5·6기 동안 해체된 대전 자치구 실업팀은 △동구 검도, 육상, 보디빌딩, 수영 △중구 복싱 △서구 육상, 유도, 사격 △유성구 태권도 △대덕구 배드민턴 등 최소 10개 팀이다.
각 실업팀이 해체 당시 예산난을 표면적 이유로 들었을 뿐 해체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드러나지 않았고, 큰 틀에선 성적과도 무관했다.
동구 검도부는 2010년 창단 이후 추계검도대회 1위, 전국체전 개인종목 1·3위 등 성과를 냈지만 2년차에 갑작스레 폐지됐다.
대전시로 이관한다는 게 이유였는데 실제로 이관은 없었다.
이와 유사한 사례로는 대덕구 배드민턴부가 거론된다. 당시 정원도 제대로 채우지 않고 운영된 배드민턴부를 KCG인삼공사의 실업팀 연고가 대전이 될 것이란 예측까지 내놓으며 해체했지만 연고는 대구였다.
두 종목의 실업팀은 행정 당국의 착오 또는 거짓 해명 속에 지역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특히 동구에선 감독도 없이 1인 선수를 뒀던 수영부와 선수 연령층이 높아지면서 성적을 내지 못한 보디빌딩팀에 대한 지적도 끊이지 않았다.
결국 두 팀 모두 선수나 지도자 보강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채 해체됐다.
서구 육상부와 유도부 역시 장기간 팀의 변화에 대한 지원 없이 방치된 끝에 성적 부진 등을 이유로 사라졌다.
당시 구의회 회의록에 따르면 동·서구 모두 선수의 연령층이 높아졌고 보강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지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선수나 지도자 영입 직후에도 해체를 추진하면서 팀 해체 기준이 부재한 상황을 여실히 드러내기도 했다.
동구 육상부는 전국체전 은메달을 기록한 선수까지 영입했지만 같은 해 돌연 팀 해체를 추진했다. 또 중구에선 복싱부에 전국체전 5연패의 코치를 영입하겠다며 전임코치를 부당해고까지 했지만 6개월 뒤 팀을 없앴다. 이와 별개로 팀 해체 전후로 미흡한 지도감독과 방만한 운영 등에 대한 지적이 이어지기도 했다.
지역 체육계에서는 과거 전례들을 반면교사 삼아 유사한 문제가 반복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세환 한밭대 산학융합학부 스포츠건강과학과 교수는 "1~2년 하다가 예산이 없다면서 팀을 폐지하면 창단을 아니 한 것만 못하다"며 "자치구 차원에서 지속 가능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종목과 팀을 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투명하고 공정한 운영을 위해 자치구의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며 "감독 코치들이 자치구 관리 감독에서 벗어나는 일이 일어난다거나, 단체장 개입 등이 생기면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