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 증액 안되면 시공품질 저하
공익적 사업… 대승적인 결단 필요
[충청투데이 박현석 기자] 청년·신혼부부 등 주거 취약 계층 보금자리 확충에 빨간불이 켜졌다.
대부분의 사업이 대전시 역점사업인 청년주택인데 공사비 증액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면서 시공품질 저하는 물론 사업 중단 우려감도 커지고 있다.
21일 대전시와 대전도시공사, 지역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현재 추진 중인 민간참여 공공주택사업(이하 민참사업)은 모두 5곳으로 이중 3곳이 건설형 청년주택이다.
건설형 청년주택은 2018년 처음 드림타운이란 이름으로 사업을 시작한 이후 현재 착공에 들어간 사업장은 3곳에 불과하다.
현재 동구 낭월동(162세대)과 유성 구암동(425세대), 대덕구 신탄진(237세대) 등 3곳에서 공사가 진행 중이며, 이 중 구암 청년주택이 지상 11층까지 골조 공사가 진행돼 60%의 공정률로 2024년 2월 가장 먼저 입주가 이뤄질 예정이다.
대전형 청년주택은 청년·신혼부부 등 사회 초년생들이 주변시세의 60∼80%의 저렴한 임대료로 입주할 수 있는 주택으로 전용면적 21㎡∼54㎡ 규모의 5개 타입으로 조성된다.
그러나 이 청년주택 건립사업이 물가연동 사업비 조정을 두고 공공시행자와 민참사업자 간 줄다리기가 계속되면서 완공을 장담하기 어렵게 됐다.
구암 청년주택 관계자는 “자체적으로 50억 대출을 진행했지만 이자 충당까지 어려운 상황이다”며 “지역 업체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연쇄부도까지 우려돼 오는 9월 공사중단까지 염두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 건설경기 침체까지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다우건설 컨소시엄(구암) 5개사와 파인건설 컨소시엄(신탄진·낭월) 5개사 등 10곳의 지역 중소 건설사들이 이 사업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공모 당시 대전도시공사가 지역 건설업 활성화 차원에서 컨소시엄 구성사를 5곳 이내, 대전에 본사를 둔 업체(지역업체 참여의무비율은 49%이상)를 포함해야 한다는 조건으로 지역 시공사들이 참여한 결과다.
도시공사는 현재 원도심 위주로 청년주택 후보지를 검토하는 등 추가 후속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물가변동률이 반영되지 않는 한 향후 청년주택 사업에 뛰어들 건설사들은 없을 것이란 게 업계의 중론이다.
실제 올해 초 LH가 대전 소제 민간공동 주거환경개선사업 민간사업자 공모를 진행했지만 입찰에 참여한 건설사가 단 한곳도 없어 유찰됐다.
지역 건설사 한 관계자는 “현재 청년주택 하청업체들도 기성금이 계속 밀리면서 원청사인 민참사업자들에게 공사대금 촉구 내용증명을 보내고 있는 상황”며 “공익적 사업을 시행하는 만큼 시행자인 대전도시공사의 대승적 결단이 필요한 상황이다”이라고 말했다.
박현석 기자 standon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