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폐액·폐수지·슬러지 고형화 요건
방법·특성규명 등 세부 내용 안정해져
대전 보관량 약 30% 방폐장 못 보내
원자력환경공단 "지속 협의 진행 중"

대전시 중·저준위 방폐물 보관량. 그래픽 김연하 디자이너. 
대전시 중·저준위 방폐물 보관량. 그래픽 김연하 디자이너. 

[충청투데이 한유영 기자] 대전에 보관된 방사성폐기물(방폐물) 중 약 3분의 1은 경주 방폐장으로 반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기물을 방폐장으로 보낼 때 적용하는 인수기준을 놓고 운영자와 발생자간 해석이 엇갈리고 있어서다.

5년 만에 원전 전성기가 예고됐다. 탈(脫)원전 기조에 멈춰 섰던 관련 연구·개발에도 재시동이 걸리고 있는 만큼 대전에 저장된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방폐물)의 안전한 관리와 조기 반출을 위한 조속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2023년 3월 기준 대전에 보관된 방폐물은 3만 501드럼이다. 올해 반출은 아직 시행되지 않았고 최근 3년간 2020년 465드럼, 2021년 475드럼, 2022년 646드럼이 반출됐다. 지난해 4분기 기준 한국원자력연구원에만 모두 2만 855드럼이 보관돼 있는데 이 중 7600드럼은 상세 인수기준이 부재해 경주 방폐장으로 보내지 못하고 지역에 보관 중이다. 한전원자력연료도 1000드럼 정도를 계속 보관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대전지역 전체 보관량 중 약 30%는 대전에 계속 남아있는 셈이다.

경주 중저준위 방폐장은 방폐물 처분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의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동굴처분시설 인수기준’을 따르고 있다.

여기엔 폐기물 특성별 인수기준을 제시하고 있는데, 슬러지·농축폐액 등 난처분성폐기물, 금속·세라믹 등 잡고체, 비가연성 폐기물 등에 대한 세부 인수기준은 난해하다. 폐기물 포장물의 고형화와 고정화 요건 부분을 보면 ‘농축폐액·폐수지·슬러지 등은 고형화 해야한다’는 요건은 제시했지만 어떤 방법으로 고형화를 할 것인지, 고형화에 따른 특성 규명을 어떻게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세부 내용은 정해지지 않았다. 한국원자력연구원 관계자는 "상세 인수 기준이 없어 보내지 못하는 방폐물들이 현재 대전에 계속 보관 중이고 한국원자력환경공단에서 기준을 세우면 이송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전원자력연료 관계자도 "공단의 기준이 환경 변화에 따라 변경되고 있어 이송이 불가능한 방폐물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인수기준을 총 18개 항목으로 구성해 놨기 때문에 인수기준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다만 관련 인수기준을 만족시키는 형태로 처리, 포장이 돼야 처분장으로 인도될 수 있는 만큼 발생자와 방법에 대한 부분은 지속적인 협의를 진행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전에서 불명확한 인수기준 탓에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방폐물은 매년 늘어나는 상황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현재 발생자측에 방폐물 종류별 보관량 현황을 요청했고 이 부분에 대해서도 조속한 반출이 가능하도록 시에서도 적극적으로 대책 마련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유영 기자 yyh@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