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정지구 등 내용 담긴 개발계획 수립
이달 말 전후 정부에 지정 요청 계획
글로벌 신산업 광역 거점 도시 목표
[충청투데이 박영문 기자] 글로벌 신산업 광역 거점도시로의 도약을 위해 대전과 세종이 함께 추진하고 있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예정지구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담긴 개발계획(안) 수립에 이어 조만간 정부를 상대로 경제자유구역 지정 요청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면서다.
8일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4일을 시작으로 오는 18일까지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안)에 대한 주민 열람이 진행 중이다.
경제자유구역 지정 요청 전 이행해야 하는 사전 절차다.
현행법에서는 시·도지사가 경제자유구역 지정 요청을 하려면 명칭·위치 및 면적 등을 포함한 개발계획을 작성, 제출해야 하고 이 경우 주민의 의견을 미리 들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앞서 대전과 세종은 2020년 상생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뒤 공동으로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추진해 왔다.
대전과 세종의 특화산업을 핵심전략산업으로 정하고 국내외 앵커기업, 교육·연구기관 및 전후방 기업 유치를 통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구상에서다.
총 면적 1352만 5000㎡로 계획된 대전·세종경제 자유 구역에는 대전 3곳, 세종 3곳 등 총 6개의 지구가 포함돼 있다.
대전에서는 우주·국방융합 산업지구(안산첨단국방산업단지), 스마트ICT융복합 산업특화지구(대동 지구), 디지털 융복합바이오헬스 산업 특화지구(신동·둔곡지구)가 이름을 올렸다.
또 세종은 스마트ICT융복합산업 소부장지구(스마트국가산업단지), 스마트ICT융복합산업 실증지구(스마트시티국가시범도시), 디지털 융복합바이오헬스 산업 실증지구(도시첨단산업단지 및 공동캠퍼스) 등이 해당된다.
대전과 세종은 비수도권 중 미래 신산업 육성에 필요한 지식기반의 혁신생태계 활성화가 잘 이뤄지는 지역으로 평가된다.
특히 두 도시는 주거 및 상업기능 역할 분담, 문화 및 관광자원의 공동활용을 비롯해 상호보완적인 입지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갖추고 있다.
실질적인 경제자유구역 지정 요청은 이달 말을 전후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대전시 관계자는 "현재 진행 중인 개발계획(안)에 대한 주민의견 청취 절차만 끝나면 곧바로 지정 요청을 할 계획"이라며 "이번 달 혹은 다음달 중에는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 인천, 부산·진해, 광양만권과 2008년 경기, 대구·경북, 2013년 충북·동해안권에 이어 울산(2019년) 광주(2020년) 등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됐다.
박영문 기자 etouch84@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