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5세 이상 고용률, 대전 32.5%·세종 37.5%·충북 42.3%·충남 45.8%
2021년 국민연금 수급자 50% 미만… 고령화 문제로 보기엔 사회문제 결부돼 있어

사진=연합뉴스 제공
사진=연합뉴스 제공

[충청투데이 노세연 기자] 충청권 65세 이상 인구 5명 중 2명이 노년기 휴식을 마다하고 ‘일하는 삶’을 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충청권 4개 시·도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고용률은 △대전 32.5% △세종 37.5% △충북 42.3% △충남 45.8%다.

‘고용률’은 전체 생산 가능 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로, 직장을 구해 직접 일을 한 사람의 비율을 뜻한다.

지난해 충청권 노인 인구의 약 40%가 돈벌이를 위해 일자리를 가졌던 셈이다.

여기에 실제로 일을 하진 않았지만 구직을 ‘시도’한 사례까지 포함하면 고령층의 노동공급 기여도는 더 높아진다.

같은 기간 지역 65세 이상 인구의 경제활동참가율(생산가능인구중 취업자·실업자의 비율)은 △대전 33.6% △세종 38.6% △충북 43.4% △충남 46.6%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권역의 고령층 경제활동인구가 42만 명을 상회했다는 것과 같은 의미다. 10년 전인 2012년(대전 22.8%, 충북 34.6%, 충남 39.4%)에 비하면 무려 약 10%p나 높아진 수준이다.

특히 고령층의 경제활동참여율은 지속적 상승세를 나타내다가 지난해 대전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지역에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문제는 이 같은 현상이 단순히 인구고령화에 의한 ‘노동시장 연령대 상승’이라고 치부하기엔 다양한 사회문제가 결부돼있다는 것.

최근 한국고용정보원이 개최한 ‘고용패널조사 학술대회’에선 고령층이 때늦은 보릿고개를 겪는 원인으로 ‘우리나라 연금제도의 미흡성’이 언급됐다.

경제학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진들은 선진국에 비해 미성숙한 국내 연금제도로 인해 많은 국민들이 은퇴시점에도 노동시장에 남게 된다고 분석했다.

실제 2021년 기준 65세 이상 충청권 지역민 중 국민연금 수급자 비율은 50% 미만으로, 절반이 사각지대에 놓여있기도 하다.

공적연금이 노인 빈곤을 완화하지 못하는 가운데 공공 일자리에서 거둬들일 수 있는 소득마저 충분치 않다보니 상황이 악화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임송은 대전보건대 사회복지과 교수는 "한국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사회보장제도가 미흡하다보니 노후대비를 못한 부모는 자식에게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며 "이 가운데 노인 일자리 사업을 통해 얻는 수입도 미미한 수준이여서 노인 빈곤문제 해소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노세연 기자 nobird@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