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보령 장고도에서 한 유류피해민이 2007년 충남 태안 기름유출 사고 당시 기름이 흘러들어왔던 바다를 가리키고 있다. 사진=김지현 기자
충남 보령 장고도에서 한 유류피해민이 2007년 충남 태안 기름유출 사고 당시 기름이 흘러들어왔던 바다를 가리키고 있다. 사진=김지현 기자

[충청투데이 김지현 기자] 2007년 12월 충남 태안 기름유출 사고로 삶의 터전을 잃은 도민을 위한 기금이 사용되지 않고 있는데도 도민 대표들은 침묵을 일관하고 있다.

유류피해민들은 삶의 터전과 맞바꾼 기금이 정상집행 되기 위해선 자신들을 대표하는 의원들의 한 마디가 절실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지난 2018년 삼성에서 출연한 유류피해기금은 허베이사회적협동조합(이하 조합)에 2024억원, 서해안연합회(이하 연합회) 1043억원씩 배분됐다.

이후 지난해까지 조합은 157억 7500만원을, 연합회는 기금의 원금(986억원)에서 발생한 이자 126억 원을 집행했다.

두 단체 모두 기금 사용 종료 기한을 앞두고 있는데 조합은 2028년까지, 연합회는 올해까지다.

기금사용단체는 내부 갈등 등을 이유로 기금 집행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기금 관리기관인 해양수산부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기금 집행의 정상화를 위해 기금 사용을 중지시켰다.

해수부와 모금회의 고강도 조치에 기금사용단체에선 반발하고 있어, 실질적인 정상화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유류피해민들은 하루빨리 기금이 정상화될 수 있도록 도민을 대표하는 충남도의회 의원들이 나서 주기를 바라고 있다.

유류피해민 대부분이 충남도민이기 때문이다.

유류피해민 김옥태 씨는 “유류피해민의 대부분은 충남도민이기 때문에 도민을 대표하는 도의원들이 우리 의견을 대변해줘야 한다”며 “유류피해민들은 의원들의 말 한마디가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유류피해민의 호소에 일부 의원 사이에서도 도의회가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편삼범 의원(국민의힘·보령2)도 “유류피해 기금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은 기금 집행기관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라며 “도의회 차원에서 유류피해민들이 더 이상 고통받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편 의원을 제외한 타 의원들은 침묵과 방관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들이 입을 열지 않는 이유는 ‘표’ 때문일 것이라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익명을 요청한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논란이 끊이지 않는 기금 정상화 문제에 나섰다가 조합과 연합회 관계자의 표를 잃게 될 수 있으니 소극적으로 할 수밖에 없지 않나”라고 귀띔했다.

의원들의 침묵에 유류피해민들은 분노하고 있다.

또 다른 피해민 전완수 씨는 “피해민과 피해 지역을 위한 기금이 제대로 사용되고 있지 않는데도 의원들이 침묵을 일관한다는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라며 “도민 대표가 도민의 편에서 목소리를 내지 않은 점은 반드시 심판 받아야 한다”고 강하게 말했다.

김지현 기자 wlgusk1223k@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