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형 상가 공실률, 대전 15%·세종 22.9%·충북 17.6%·충남 14.6%
대전, 원도심 중심 침체 뚜렷… 세종, 17개 시·도 중 공실률 최고 수준
3高 여파로 공실률 개선 하반기 이뤄질 듯… 정부·지자체 지원 절실
[충청투데이 한유영 기자] 지역경기 바로미터가 되는 상가 공실률이 충청권에서 여전히 고공행진 하고 있다.
코로나19(이하 코로나) 여파에 이어 덮친 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 위기로 침체된 상권 분위기가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면서 상권 슬럼화, 인구유출 등 더 큰 지역성장 저해 문제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8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충청권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대전 15%, 세종 22.9%, 충북 17.6%, 충남 14.6%로 4개 시·도 모두 전국 평균 13.2%를 훌쩍 넘겼다.
동기간 소규모 상가 공실률도 충남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시·도가 대전 7.5%, 세종 10.9%, 충북 8.0%를 기록하며 전국 평균(6.9%)을 상회했다.
대전의 경우 원도심을 중심으로 상권 침체가 도드라졌다.
해당 기간 원도심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24%다.
코로나 장기화와 대유행이 반복되면서 폐업 등의 영향으로 공실률이 크게 증가했던 2021년 4분기 당시 24.4%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세종은 소규모·중대형 상가 공실률 모두 17개 시·도중 가장 높았다.
세종시는 장기간 주인을 찾지 못한 상가들이 많아지면서 기존 상권까지 악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해 지난해 8월 상가공실 문제 해결을 위한 ‘업종제한 완화’ 카드까지 꺼내 들었으나 공실문제는 좀처럼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경기 흐름에 따라 이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공실이 조금씩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정재호 목원대 부동산금융보험융합학과 교수는 "코로나 방역조치 완화 이후 상가 이용객들이 늘고 있는 것은 맞지만 높은 금리로 이미 세입자들의 부담이 높고 원재료, 난방비, 전기세까지 모두 올라 신규 수요는 더욱 적을 수 밖에 없다"며 "부동산 시장은 결국 경기가 가장 중요한데 경기가 어려운 현 시점에서 공실률이 개선되긴 어렵고 이르면 올해 하반기쯤 조금씩 공실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구도심의 경우 유동인구,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가 신도심에 비해 적어 회복하는 수준이 더딜 수 있다"며 "정부에서도 원도심 상권 위주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지자체 차원에서 관련 사업에 적극적인 참여와 더불어 자체 지원 사업 발굴 등을 병행하면서 원도심 지역 상가 공실률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한유영 기자 yyh@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