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회 올해부터 운영 예정… 기초의회, 광역의회와 달리 채용난
지원자 없거나 광역의회로 인력 유출, 채용 방식 선회하는 곳도 있어

왼쪽부터 대전시의회, 세종시의회, 충북도의회, 충남도의회.
왼쪽부터 대전시의회, 세종시의회, 충북도의회, 충남도의회.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지방의회 정책지원관 제도가 올해부터 본격 운영에 돌입하지만 정작 기초의회는 인력 충원 문제로 고심이 깊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광역의회와 달리 지원자가 아예 없거나 그나마 있던 인력이 광역의회로 자리를 옮기는 인력 유출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기 때문.

1일 충청권 지방의회에 따르면 ‘지방의회 정책지원관 제도’가 올해부터 지방자치법에 명시된 의원 정수 절반 수준까지 충원돼 확대 운영된다.

제도의 본격 가동을 위해 충청권 지방의회는 현재 인력 충원을 준비 중이다.

먼저 충남도의회와 세종시의회는 지난달 각각 13명과 6명의 임기제공무원을 채용해 정책지원관 충원을 마쳤다.

대전시의회도 지난달 27일 1차 서류전형 합격자를 추리고 면접평가를 준비 중이다.

광역의회가 정책지원관 충원을 위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반면 기초의회에선 인력 공백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인력의 이탈과 신규 채용 지원률 저조 등으로 기존의 정책지원관 자리조차 채우지 못하면서다.

현재 대전에서는 중구의회가 지난해 선발한 정책지원관 3명 중 2명이 광역의회로 옮겨가 정책지원관이 1명 남아 있는 실정이다.

서천군의회도 기존의 정책지원관 1명이 광역의회로 이직해 사실상 가동불가 상태에 놓였다.

때문에 지난 1월부터 충원 작업에 들어갔으나 지원율 저조로 세 차례의 채용공고 끝에 면접대상자를 추릴 수 있었다.

채용난에 결국 임기제가 아닌 일반직으로 채용 방식을 선회한 곳도 있다.

옥천군의회는 지난해 임기제 채용과정에서 확인된 저조한 지원률 및 업무 효율성을 고려해 올해는 일반직 공무원으로 추가 인력을 채우기로 결정했다.

이에 대해 한 기초의회 관계자는 "기초의회는 광역의회보다 직급, 연봉이 모두 낮아 지원자가 많지 않다"며 "채용에 성공해도 광역의회나 더 큰 규모의 의회의 정책지원관 채용소식이 들리면 현 인력의 이탈을 우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결국 타 의회에서 탈락한 인력을 채용하거나 일반직으로 충원할 수밖에 없다"며 "하지만 일반직은 집행부와 협의가 필요해 이조차도 쉬운 일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전문가는 기초의회에 좋은 인력이 계속 유입될 수 있는 채용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원구환 한남대 행정학과 교수는 "기초의회 내 정책지원인력 이탈 현상을 막긴 어렵기 때문에 전문성을 갖춘 인력이 의회로 계속 유입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여기에 초점을 맞춘 지방의회 채용시스템 구축을 위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