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 이어 자영업자 가스요금 상승 직격탄
업무용 요금 단가·인상폭, 주택용보다 높아
재료·인건비 상승에 소비위축까지 ‘4중고’

[충청투데이 권혁조 기자] 지역 자영업자들이 공공요금 인상 직격탄을 맞았다.

자영업자들에게 적용되는 도시가스 요금은 가정용과 비교해 높은 단가가 적용될 뿐 아니라 인상률까지 높아 가게 문을 여는 게 오히려 손해일 정도라며 하소연을 이어가고 있다.

1일 충청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2월 기준 대전지역의 도시가스요금은 전년동월대비 35.3% 상승했다.

전기요금과 지역난방비도 각각 18.6%, 34.7% 치솟았다.

세종지역 도시가스 요금과 지역난방비도 각각 36.1%, 34.6% 인상됐다. 충남과 충북지역 역시 비슷한 수준의 상승폭을 보였다.

충청권 아파트 난방비 증감률 및 평균 난방비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권 아파트 난방비 증감률 및 평균 난방비 =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도시가스 원료로 사용되는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가격이 폭등하면서 주택용 열 사용 요금(열요금)은 지난해만 세 차례, 열요금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가스 요금도 네 차례에 걸쳐 42.3%나 오른 탓이다.

자영업자들에게 적용되는 도시가스 요금은 가정용에 비해 단가가 높은 업무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가 적용된다는 점도 악재다.

대전과 계룡 지역에 도시가스를 공급하는 CNCITY 에너지를 기준으로 주택용 도시가스요금은 1MJ당 21.39원인데 비해 업무난방용 도시가스요금은 35.76원 수준.

요금 인상폭도 전년에 비해 62.4%나 급등, 같은기간 주택용 도시가스요금이 35.4% 오른 것과 비교해 2배 가까이 높다.

자영업자들의 공공요금 인상 부담은 서민들의 난방요금 폭탄을 능가하는 셈.

대전 서구의 한 국밥집 대표 A 씨는 “국밥은 하루 종일 끓여야 돼 가스 소모가 많다. 지난달보다 손님은 줄었는데 가스비는 30만원이나 더 나왔다”며 “원재료값과 인건비, 공공요금까지 안 오른 게 없는데 음식값을 올릴 수도 없고, 문을 여는 게 오히려 손해일 정도”라고 토로했다.

고물가 기조가 계속되면서 음식값을 인상해야 가게 운영에 숨 통이 트일 텐데 손님이 줄까 봐 경영난만 악화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겨울철 난방요금 증가에 서민들의 고통이 커지면서 정부와 지자체의 대책이 쏟아지고 있는 만큼 자영업자들에게도 가스요금 등 고정비용 부담을 완화해 줄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있다.

김태호 대전 은행동상점가 상인회장은 “자영업자는 우리나라 경제의 핏줄과도 같은 역할이다. 자영업자가 붕괴하면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자영업자들이 공공요금 탓에 폐업에 내몰리지 않도록 공공요금 바우처 확대, 요금제 부담 완화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휴업 공지문을 붙여 놓은 대전 은행동의 한 점포 모습. 사진=권혁조 기자.
휴업 공지문을 붙여 놓은 대전 은행동의 한 점포 모습. 사진=권혁조 기자.

권혁조 기자 oldbo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