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외곽순환도로·보문산관광단지개발 등 임기 내 실현 발표
지자체 발주, 물가변동 따른 계약변경 인정 돼 위기 대응 가능
"공약, 현실화 될 수 있도록 산학연·정치권과 머리 맞대야"
[충청투데이 박현석 기자] 이장우 대전시장이 임기 내 대형사업 조속 추진을 약속하면서 위기에 빠진 충청권 건설업계가 반색하고 있다.
공공공사 수주 가뭄에 최근 금리인상, 부동산 경기 하락 등으로 업계가 보릿고개를 걷고 있는 와중에 지자체가 대규모 개발 사업 확대 기조를 밝히면서 수주 증가에 대한 기대감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 시장은 최근 대전시의회 시정연설을 통해 민선 8기 주요 대형사업을 민간자본을 투입, 적극적인 민자 유치 검토로 임기 내 마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날 주요 지역 현안으로 꼽은 대형사업은 대전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 보문산관광단지개발, 장대교차로 입체화에 따른 지하차도 건설 및 도로확장, 제2수목원 조성 등이다. 대전도시철도 2호선 조기 건설을 위한 총 사업비 조정,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건설 공사 하반기 착공 등 교통 인프라 확충 사업도 신속한 추진 의지를 드러냈다.
이 같은 청사진 제시에 그간 대형공사 수주에 목말랐던 지역 건설사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지자체 발주 공사는 도급 계약 시 물가변동에 따른 계약변경이 인정되면서 자재값 폭등 위기에서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지자체발 대형 건설사업을 두고 지역 건설업계가 고무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이유다.
지역 전문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모처럼 반가운 소식이다. SOC사업 등 대형 사업은 지역 일자리도 늘려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킨다는 점은 명확하다"며 "특히 도로공사의 경우 공사비 규모가 커 토목 사업의 꽃이라 불린다. 하수도 관로, 정보통신·전기 매설 등 대공정 7~8가지가 들어간다"고 말했다.
이 같은 대형 사업이 공약에 그치지 않고 실제 현실화될 수 있도록 산학연, 정치권 등과 머리를 맞대야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김만구 대한토목학회 대전·세종·충남지회장은 "대형 사업들과 같은 시정 현안을 유연하게 추진하기 위해선 산학연과 같은 전문가 집단같이 공조해야 한다"며 "관 차원에서 수많은 대형 사업을 끌고 나가기엔 행정력의 한계가 있다. 추진 협의체를 구성하고 정치권 하고도 같이 조직적으로 움직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현석 기자standon7@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