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 특성 맞는 의료서비스 제공·행동문제 치료 위한 의료기관
충청권 4개 시·도 중 충북에만 존재… 진료 받으려면 1년은 기다려야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투데이 그래픽팀.

[충청투데이 김성준 기자] 발달장애 치료·검사 기관이 부족해 지역 발달장애인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6일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발달장애 거점병원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서울, 강원, 충북 등 8개 지역에만 존재한다.

충청권 4개 시·도 중 발달장애 거점병원이 있는 지역은 충북이 유일했다. 발달장애 거점 병원은 발달장애 특성에 맞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자해 등 행동문제를 치료하기 위해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의료기관이다. 발달장애인들이 체계적인 치료를 받기 위해 꼭 필요한 기관이지만 병원 수가 적어 다른 지역으로 원정치료를 다니는 등 불편을 겪고 있다.

지난해 발달장애인 거점병원 이용자 8285명 중 2683명(32.3%)은 다른 지역 거점병원을 찾아 치료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별 이용 현황을 보면 충남은 99명, 세종과 대전은 각각 51명, 41명이 다른 지역 거점병원을 이용했다. 지정된 거점병원 수가 적다 보니 진료 대기 기간도 수개월에서 최장 2년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북대병원, 강원대병원 등 전국 발달장애 거점병원 10곳의 평균 진료 대기 기간은 217일이었다. 충북대병원에서 진료를 받기 위해서는 지난해 기준 평균 360일을 기다려야 했다. 발달장애 정밀검진이 가능한 검사 기관도 246곳 중 151곳(61.38%)이 수도권에 몰려 있어 이용자들의 불편을 초래했다.

충청지역에서는 지난 6월 기준 대전이 8곳으로 가장 많았고, 충북(5곳), 세종·충남(각 4곳)이 뒤를 이었다. 서울의 검사기관은 86곳으로 1곳당 13명(12.95명)을 맡아 검사하면 되는 반면 충북과 충남이 맡아야 할 검사 대상은 각각 60명, 46명으로 집계됐다. 발달장애 검사 기관에 대한 접근성의 한계는 저조한 검사율로 이어졌다.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발달장애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7만 7654명 중 실제 검사를 받고 비용을 지원 받은 대상은 1만 2435명(16.01%)에 불과했다.

강선우 의원은 "영유아건강검진 발달평가에서 심화평가 권고 판정을 받을 경우 장애 조기 발견과 치료 등을 위해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하지만 외면 받고 있다"며 "발달장애인이 어디에 살든 차별 없는 공공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세종·충북·충남 발달장애인은 2019년 3만 2999명, 2020년 3만 3794명, 지난해 3만 4743명 등 최근 3년간 지속 증가하고 있다. 김성준 기자 junea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