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원론적 질문·의견 제시만… ‘맹탕 검증’ 비판

대전시의회.
대전시의회.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그동안 의정활동 낙제점을 받아온 제9대 대전시의회가 인사청문간담회(이하 청문회)에서도 지방의회의 감시·견제 역할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9일 대전시의회에 따르면 인사청문간담특별위원회가 대전 교통공사 사장으로 내정된 연규양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간담회를 진행했다.

이번 청문회는 대전시 주요 산하기관장 임명을 위한 인사청문회를 실시하는 것으로 대전시는 지난 20일 대전시의회에 인사청문 요청서를 접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연 후보자는 “대전교통공사 사장의 직분을 수행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최상의 서비스와 안전으로 시민의 행복을 만들어가는 교통공사가 되도록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하지만 대전시의회의 첫 인사청문회를 놓고 제대로 된 인사검증조차 하지 못한 ‘맹탕 검증’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대전교통공사사장이라는 자리가 도시 교통에 대한 전문성 등이 요구되는 자리인 만큼 철저한 전문성 검증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형식적인 질의만 이뤄졌기 때문이다.

이날 한 청문위원은 “대전시가 통합교통서비스(MaaS)를 구축하기 위해 대전시도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데 그런 부분에 동의하시냐”며 전문성 검증보다는 의견제시와 동의를 물었다.

또 다른 위원도 “현대아울렛 참사를 현장을 살피고 지하철 화제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을 하실 준비를 해야한다. 약자를 위한 협조를 해달라”며 인사 검증보다는 의견 제시에 가까운 질의를 진행했다.

이밖에도 역사 내 커뮤니티 공간 구축, 미세먼지 대책 등에 대한 청문위원 개인의 생각을 전달하는 질의가 인사청문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와 함께 추가 질의를 신청한 의원이 한 명에 불과했다는 점도 의원들의 인사검증 준비가 미흡했다는 방증으로 꼽힌다.

이에 대해 한 청문위원은 “급하게 청문일정을 전달받아 다소 준비가 부족했던 측면이 있었다”며 “추가 검증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청문보고서 채택 전에 추가 검증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지역에서는 시의원으로서의 책무를 다하지 못하는 안일한 생각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급하게 일정을 받았더라도 자신의 책무를 다하는 것이 시의원의 당연한 책무”라며 “준비가 부족했다는 것 자체가 시의원으로서 맡은 역할을 가볍게 보고 있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