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위성특화지구 지정 기대 했지만… 정부, 경남 결정
민주 "대전 배제 우주 강국 도약 포기하는 길" 비판
일각선 지역 정가 적극 대응 못해 빚어진 결과 목소리도
[충청투데이 박영문 기자] 미래 우주산업을 이끌 항공우주청에 이어 우주산업클러스터까지 대전 유치가 사실상 무산되면서 지역 정치권을 향한 책임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관련 산업 인프라를 갖추고도 정치권이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지 못해 번번히 고배를 마셨다는 취지에서다.
1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최근 정부는 전남을 발사체 특화지구, 경남을 위성특화지구를 지정하는 등 우주산업클러스터 후보지를 결정했다.
그동안 항우연, 천문연 등 R&D 인프라를 바탕으로 위성 특화지구 지정에 기대를 걸어왔던 대전은 결국 대상지에서 제외됐다.
앞서 대전은 지난해 누리호 1차 발사와 더불어 우주전담조직 신설을 추진해 왔지만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에 밀려 경남 사천에 항공우주청을 내 준 바 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대전시당은 전날 논평을 내고 "항공우주청에 이어 우주 클러스터 사업에서 대전을 배제하는 것은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는 것을 포기하는 일"이라면서 "정부의 도 넘는 대전 외면뿐 아니라 대전시의 소극적이고 무사 안일한 자세도 비난 받아 마땅하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민주당 간사를 맡고 있는 조승래 의원(대전 유성구 갑)은 지난달 29일 성명을 통해 "명분도 절차도 없는 졸속 추진"이라며 "우주산업 클러스터 사업 추진 결과는 정부의 짜맞추기식 졸속 추진과 이장우 대전시장의 무관심, 대전시의 소극적 대응이 만들어 낸 참사"라고 꼬집었다.
반면 지역 정치권이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해 빚어진 결과라는 반응도 나왔다.
설재균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간사는 "지역 정치권에서 어떻게 대응을 해야 할 지에 대한 노력이 부족했던 것 같다"며 "또 정치력이나 정치적인 행동 자체가 수도권이나 경상도, 전라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오지 않았나 싶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29일 열린 제398회 국회(임시회) 과방위 전체회의에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국가우주)위원회에서 전남을 발사체 특화지구, 경남을 위성 특화지구로 결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또 "발사체 산업, 위성 산업 특화지구별로 각각 하나씩 선정한 것"이라며 "다만 향후에도 필요시에는 추가 지정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박영문 기자 etouch84@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