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적 한계…연장 현실적 불가
도내 노선 신설로 계획 변경
M버스 환승체계 구축 예정
이용객 적으면 도비 부담 늘어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김태흠 충남지사 당선인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인 ‘수도권 광역급행버스(M버스) 천안·아산 연장’이 애초 구상에서 변경될 전망이다.
현실적으로 수도권 M버스를 충남까지 연장 운행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면서 M버스와 연계할 도내 노선을 신설하는 방안으로 선회한 것인데, 실제 운행 실적에 따라 도의 예산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김 당선인의 도정 인수위원회인 ‘힘쎈 충남 준비위원회(이하 준비위)’ 소속 황종헌 국토해양농업분과 간사는 27일 ‘힘쎈 충남 100일 중점과제 제2차 브리핑’을 발표하며, M버스 천안·아산 연장을 위한 3단계 로드맵을 제시했다. 황 간사가 소개한 단계적 추진 방안은 △천안역-평택지제역 구간 운행 도내 버스 신설 및 M버스와의 환승체계 구축 △시외버스를 활용한 ‘충남형 M버스(아산터미널-서울남부터미널)’ 신설 △공주·논산·계룡·금산↔대전·세종 간 광역급행 노선 신설 등이다.
즉 서울과 천안·아산을 연결할 노선을 도가 자체적으로 만들고, 이를 충청권으로 확대하겠다는 뜻이다.
이같은 추진 전략은 애초 김 당선인이 후보 시절부터 강조한 수도권 M버스 천안·아산 연장과 다소 결이 다르다.
수도권 M버스가 직접 충남까지 내려오지 않는다는 점에서 ‘연장’이 아닌 ‘연계’에 가깝다.
공약이 궤도 수정을 한 이유는 법적 한계 때문이다.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과 대도시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등에 따라 현재 M버스는 수도권역에서만 운행이 가능하다. 공약 실현을 위해선 관련법을 개정해 M버스의 운행 범위인 수도권역에 ‘천안’을 포함하고, 대중교통의 행정구역 경계 초과 범위를 50㎞에서 100㎞로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 준비위 관계자의 설명이다.
황 간사는 "수도권 M버스를 천안까지 오게 하려면 법적 정비가 필요하다"며 "당장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 보니 공약 실현 방법을 수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준비위는 버스업계, 평택시 등과의 협의를 거쳐 빠른 시일 내에 천안역-평택지제역 구간 운행 버스를 신설하고, 이를 수도권 M버스와 연계할 환승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천안역-평택지제역 노선과 수도권 M버스에 대한 도내 수요는 해당 버스를 실제 운행하며 파악한다는 입장인데, 운행에 비해 실 이용객이 적을 경우 도비 부담이 커질 수 있다.
황 간사는 "아직 예산까지는 면밀히 따져보지 못했다. M버스에 대한 도내 수요를 파악해 보완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도 관계자는 "노선 운영으로 운임회사에 손실이 나면 도에서 예산을 세워 보전해야 한다"며 "실제 수요를 봐가며 운행 횟수 등을 조정할 필요가 있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