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시대’ 이끌 대학 연구 역량, 이대로 괜찮나]
대전권 사립대 전임 교원 20~40명 감소
대학 3곳 부설연구소엔 전임 교원 ‘0명’
정부사업 국립대 위주 진행된 점 문제
대학들 자생 위한 혁신 필요성도 나와

연구. 그래픽 김연아 기자.
연구. 그래픽 김연아 기자.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정부 고등교육 정책에서 대학의 연구 역량이 강조되자 지역대학들은 각종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사활을 걸고 있다.

일부 대학은 기술 사업화와 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하며 위기 극복에 힘을 쏟고 있지만 한계점이 뚜렷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1일 교육계에 따르면 앞으로의 정부 정책은 비수도권 30개교에 1개교당 5년간 1000억원을 지원하는 글로컬대학30 사업 등을 통해 일부 대학에 대한 집중 투자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글로컬대학을 기준으로 보면 1차 선정에서 이름을 올린 10개교 모두 지역 산업 또는 지역 문제 해결과 연계된 연구 체계 등을 핵심 계획으로 내세웠다.

연구 역량도 대학의 생존을 좌우할 한 지표로 작용하게 된 셈이다. 그러나 지역대학들의 상황은 녹록지 않다.

대전권 일반대를 기준으로 논문 실적(KIC·SCI급)이 2020년 대비 지난해 각각 10건 이상 감소한 곳이 7개교 중 2개교, KIC·SCI급 중 한 부문 실적이 크게 떨어진 곳은 2개교다.

이와 함께 대학별로 10~20여개소 가량 설치한 부설연구소에 전임 교원이 단 한 명도 없는 대학이 3개교에 이른다.

이러한 상황은 전임 교원의 감소 추세와 무관치 않다.

대전권 일반대 7개교 중 국립대 2개교를 제외한 사립대는 모두 2020년 대비 지난해 전임 교원이 각 대학별로 20~40여명 가량 감소했다.

사실상 연구의 핵심축을 담당할 전임 교원이 줄고 있는 셈인데, 여건은 앞으로 더욱 악화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올해 정부가 산업계와의 연계성을 강조하면서 겸임·초빙의 활용 가능 비율을 기존 전체 교원의 5분의 1에서 3분의 1까지 확대했기 때문이다.

한 대학 관계자는 "등록금 동결과 입학 자원 감소 등으로 인해 재정 여건이 악화되고 있는데 전임 교원을 줄이고, 인건비가 적게 드는 비전임 겸임, 또는 초빙 교원 등을 늘려 소요 예산을 줄이고 있다"며 "수도권에선 겸임, 초빙에 대한 임금도 높아 산업계 우수 인력을 초빙할 수 있다. 그러나 지역 여건은 그렇지 않다"고 설명했다.

일부 대학은 그동안 지역대학에 대한 정부 사업이 기초연구보다는 교육, 산학 중심으로 진행된 점과 국립대 위주로 추진된 점 등을 지적하고 있다.

대전 A사립대 관계자는 "그간 RIS, LINC 등 정부 사업에 지역 사립대는 연구보다 교육 중심으로 선회하고 산학 중심의 정책 연구를 많이 하게 됐다"며 "결국 정부 정책 방향에 지역대학의 연구가 소홀해지고 있는 셈인데, 큰 틀에선 정부가 지역대학에 요구하는 연구가 기초 R&D가 아니라 기업의 불편사항, 지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교육계 안팎에서는 지역 사립대들이 실질적인 지역 허브(HUB) 역할을 맡기 위해선 불균형을 해소할 지원책과 함께 대학 스스로 자생을 위한 혁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충청권 B대학에선 이러한 혁신을 위해 지난해부터 교원 평가를 강화하려 했지만 교원들의 반대에 직면해 신규 교원에게만 적용하게 됐다.

사실상 성과에 따른 세대 교체 가능성까지 열 수 있는 계획이었지만 좌절된 셈이다.

B대학 관계자는 "앞으로의 정부 정책 대응을 위해서도 혁신과 희생은 불가피하다"며 "역량 강화에 ‘올인’을 해야 하는데 내부적으로도 기득권을 내려놓을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