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업 확산 속 공실률 36% 매년 증가
창업 거부감 커져… 정책 실효성 논란
일부 지자체 협력·지원으로 활성화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정부가 침체한 전통시장 상권 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청년상인 육성 정책이 정작 현장에선 공감대를 얻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표 정책인 전통시장 내 청년몰 육성은 정작 소비자들에게 외면 받거나, 시장 내에서도 활성화되지 않는 등 실질적 성과를 도출해 내지 못하고 있다.
5일 국회입법조사처 등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는 2016년부터 청년몰 조성사업을 추진해 지난 2022년까지 43개의 청년몰을 조성했다.
하지만 2021년 폐업한 대전의 청년몰 ‘청년구단’ 등 8곳이 문을 닫았고 현재 운영 중인 청년몰에서도 매년 공실이 증가하는 등 사업의 실효성이 지적돼 왔다.
실제 더불어민주당 오세희 국회의원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청년몰의 공실률은 지난해 기준 36%로 2021년부터 매년 증가했다.
지역 전통시장 관계자는 "청년 상인 육성을 위한 청년몰이 반짝에 그치면서 청년들이 전통시장에 대한 창업 거부감이 더욱 커진 것 같다"며 "청년 상인 육성을 위한 새로운 제도와 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청년몰이 활성화된 일부 지자체의 성공 사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대전을 비롯한 다수 지자체의 청년몰이 자생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막을 내렸지만 일부 지역에선 기존 상인들의 협력과 지자체의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이끌어 냈다.
전남 익산 중앙시장의 경우 청년상인 선정 평가 기준을 높이고 기존 상인들과 유기적인 협력을 강화하면서 청년몰이 살아났고 소비자들의 발길이 지속되면서 시장 자체의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익산시 관계자는 "지난 3년 동안 청년몰 활성화 지원 사업으로 예산 투입이 많았고 청년상인들과 기존 시장들의 협력을 유도했다"며 "청년몰이 활성화되면서 늦은 밤까지 사람들이 찾아오며 체류시간이 늘었고 시장 전체의 매출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청년몰에서 성장해서 지역에서 자립을 준비하는 청년 상인들도 늘고 있어 지속적인 활성화와 청년 상인들의 정착을 위한 지원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