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지연 대전 서구의회 의원
2025년 10월 21일, 제80주년 경찰의 날을 맞았다. 현장에서 주민의 안전을 위해 헌신해 온 분들께 다시 한번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안전’이란무엇일까? 그 단어 속에는 지켜낸 이들의 노력과, 아직 닿지 못한 현실이 함께 존재 한다.
최근 교권 침해, 학교폭력, 아동 유괴 시도 같은 불안한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교사와 학생 사이의 신뢰가 무너진 비극적인 사건은 우리가 얼마나 불안정한 시대를 살고 있는지를 일깨운다. 서로 다른 현장에서 벌어진 일이지만, 그 안에는 같은 질문이 있다. "우리는 지금, 얼마나 서로를 믿고 함께 지킬 준비가 되어 있는가."
오늘의 학교는 우리 사회의 축소판이다. 교사 권위는 약해지고, 학생 인권은 강화되고, 학부모의 기대와 불안이 얽히면서 학교는 변화의 파고를 가장 먼저 맞이하고 있다. 이제는 책임을 묻는 일보다 이 변화의 흐름을 어떻게 함께 넘어설 것인가를 고민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얼마 전 의회에서 「학교 안전이 곧 지역 안전이다」 정책토론회를 주재했다.
학교폭력과 교권, 지역 치안을 한자리에 놓고 경찰·교육청·법조계·학생이 함께 ‘신뢰’라는 공통의 해답을 찾아갔다.
예상대로 현장은 냉정했다. 학교폭력의 정의가 지나치게 넓어 실효성이 떨어지고, 처벌 중심의 대응은 현장을 더 위축시킨다는 지적 가운데 논의의 끝은 분명했다. 지속 가능한 협력과 신뢰 회복, 바로 그것이 안전의 출발점이었다.
학교 안전의 기반은 관계와 공감, 그리고 책임감에 있다. 교실 안의 신뢰가 흔들리면 지역의 안전도 함께 무너진다. CCTV나 순찰 강화보다 중요한 것은 교사·학생·학부모·지역이 서로를 존중하고 이해하는 문화이고, 안전의 책임은 누구 한 사람의 몫이 아니라 모두가 함께 지켜야 할 약속이다. 우리가 어떤 시선으로 ‘안전’을 바라보느냐에 따라 그 결과는 달라진다.
학교 현장에서는 가해자와 피해자, 교사와 학생이 입장이 엇갈리고, 이해보다 판단이 앞서는 순간이 잦다. 그러나 이 긴장과 혼란은 사회가 새로운 균형을 찾아가는 과정이자, 성숙을 향한 통증이기도 하다.
이제 필요한 것은 제도보다 먼저 관점의 변화 일 것이다. 법과 규정을 손보는 일보다, 서로의 자리에서 생각하고 공감하려는 노력이 진짜 변화를 만든다. 변화가 신뢰와 공감 위에서 현실이 되듯, 진정한 안전도 비난이 아닌 이해와 회복의 의지에서 시작된다. 그 믿음이 쌓이면 학교의 울타리를 넘어, 지역 사회 전체로 신뢰의 문화가 확산된다. 규범과 시스템은 결국 그 방향을 따라가며, 진짜 안전망은 그렇게 세워진다.
의원으로서 나 또한 그 흐름 속에서 주민과 함께 고민하고, 학교에서 지역으로 이어지는 안전의 구조를 현실에 맞게 다듬는 일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학교를 지탱하는 힘은 결국 우리 모두의 인식과 실천이며, 그 작은 관심이 모여 아이들이 안심하고 주민이 함께 안전을 체감할 수 있는 내일을 만들어 가길 바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