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혁수 국회 문화관광AI 민관협의회 공동대표, 청주대학교 종신 명예교수

대한민국의 ‘K-캠핑’ 문화를 잘 만들어 세계적 선도의 캠핑, 글램핑 문화를 창조해 나갔으면 하는 주장을 해 본다. 그러기 위해서 ‘안전인증제’와 정기 ‘관리감독’이 신속히 제도화 돼야 한다.

우리나라도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면서, 최근 고급레져 차원의 캠핑이 국민 여가의 중심으로 자리 잡게 됐다. 한국관광공사 자료에 의하면 2019년 2500여개 였던 캠핑장은 2024년 5000여개에 이르렀다. 이용객도 1000만 명을 넘었다. 그러나 급성장한 시장규모에 비해 안전관리 제도는 여전히 느슨하다. 실제로 화재, 가스 폭발, 익사 등 크고 작은 사고가 매년 반복되고 있다. 이런 사고가 반복되는 문제는 캠핑의 순기능을 갉아먹고도 남는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제 근본적 제도개선 차원으로서 캠핑장 안전 관련 법률을 제정·시행해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캠핑장 관련 법령은 관광진흥법에 일부 규정돼 있으나 시설 안전에 관한 세부기준과 인증제도는 없는 실정이다. 가스와 전기 설비에 대한 점검도 의무화되어 있지 않고, 운영자의 안전교육도 법적근거가 미비하다. 더 큰 문제는 허가 후 관리감독이 사실상 방치되는 위험 상태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수년간 점검 한 번 없이 운영되는 캠핑장의 안전 사각지대 문제는 후진국형 사고의 위험을 그대로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 지어 다음의 발전적 내용을 제시 해 본다.

첫째, 시급히 ‘캠핑장 안전관리 인증제’를 도입해야 한다. 정부가 정한 시설, 설비, 운영 기준을 충족한 캠핑장 만이 영업 할 수 있도록 법제화해야 한다. 인증마크를 받은 업체는 이용객이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고 더 많은 이용과 좋은 이미지 속에 이용요금을 더 받을 수 있다. 안전면에서 신뢰 향상과, 궁극적 시장 수요의 향상도 이뤄질 수 있다.

둘째, 인증제 도입 이후 지속적 안전을 위해서, 매년 ‘정기적인 관리감독’ 시행의 필요와 이에 대한 제도화도 수반 돼야 할 것이다.

셋째, 인증제와 감독은 단순한 규제가 아니고 이 분야 산업의 신뢰도를 높이는 필수불가결한 성숙화의 과정이다. 잘 다듬어지고 앞서가는 운용을 한다면, 소위 ‘K-캠핑’ 사업이 국내외 이용객들로부터 더 높은 신뢰와 성숙한 복지관광의 기반을 담당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인증제의 도입은 지역경제와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한다. 인증제와 정기점검을 담당할 전문 인력과 관리기관이 필요할 것이고 자연스럽게 관련 일자리도 창출될 것이다. 또한 이용객 방문은 직접적 지역경제에 기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캠핑은 국민의 고급 휴식 공간이자, 지역과 국가 복지관광산업의 주요 축이다. 잘 정비된 캠핑장과 고급문화가 어우러지는 ‘K-캠핑’을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