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2년차’ 지선 앞둔 충청권 요동친다]
민주, 충청권 핵심 축 삼아 17개 시도지사 쟁탈 목표… 국힘 중원사수 최우선 과제
예산성과·행정수도 완성·해수부 이전 논란 속 중도층 표심방향 따라 승패 가를 듯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예산·개혁·특검을 둘러싼 여야의 강대강 대치가 본격화되는 사이 지방 권력 지형 재편 여부가 달린 제9회 지방선거가 8개월여 앞으로 다가왔다.
12·3 비상계엄으로 촉발된 조기 대선을 거치며 정권은 교체됐고, 공수가 뒤바뀐 여야의 시선은 이미 내년 지방선거로 향하는 분위기다. 이에 수 차례의 선거를 통해 큰 폭의 민심 변화를 확인한 지역 정치권은 벌써부터 내년 지선에서 드러날 충청 표심의 향배를 주목하고 있다.
24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제1야당인 국민의힘은 내년 6월 치러지는 지방선거를 겨냥해 일찌감치 시동을 걸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1년 만에 치러지는 차기 지방선거는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 짙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런 상황에서 여야는 전국을 돌며 민심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는데, 선거 때마다 최대 승부처가 된 충청권의 중요도는 더 높아지고 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지난달 지방선거 기획단을 출범시키며 본격적인 선거 체제로의 전환을 공식화 했다.
정청래 대표가 직접 전국을 돌며 예산정책협의회를 주재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민주당은 2018년 지방선거에서 기록한 14곳 석권을 넘어 이번에는 17개 시·도지사 ‘싹쓸이’를 목표로 내걸었다.
민주당은 충청권을 선거 전략의 핵심 축으로 삼고 있다. 지난 8일 국회에서 열린 ‘대전·세종·충북·충남 예산정책협의회’에서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약 28조 원의 충청권 현안이 반영됐다고 강조했다.
세종시 행정수도 기능 강화, 충북선 철도 고속화, 충청권 광역교통망 확충, 청년 정책 지원 등이 대표 사례로 제시됐다.
다만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은 여전히 법제화가 지지부진하고, 대전·충남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은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는 점은 아쉬운 대목으로 꼽힌다.
또 청주공항 국제선 확대는 수년째 지체되고 있으며, 충북선 고속화 사업도 속도가 나지 않는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국민의힘 역시 조직 정비와 현장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 18일 지방선거 총괄기획단을 꾸리고 위원장에 5선 나경원 의원을 임명했다. 공직자 평가 혁신 태스크포스(TF)와 조직강화특위도 함께 가동되며, 장동혁 대표가 전당대회에서 내세운 ‘싸우는 공천’ 기조가 현실화되는 모습이다. 야당은 강경한 대여 투쟁과 지방 현장 행보를 결합해 ‘투쟁과 조직’을 동시에 챙기는 전략에 나섰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부산과 대구를 거쳐 24~25일 대전을 찾았다. 단순한 방문이 아니라 내년 지방선거에서 ‘중원 사수’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는 메시지를 던진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충청권 곳곳에서는 여야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민주당은 국민의힘 소속 지방 정부의 성과를 깎아내리며 ‘심판론’을 띄우고, 국민의힘은 ‘일 잘하는 지방정부’ 프레임을 내세워 방어와 공세를 동시에 펼치는 형국이다.
이와 관련,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충청 민심의 향배는 전국 판세를 가늠하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예산 성과와 개혁 드라이브, 행정수도 완성과 해수부 이전 논란 사이에서 중도층이 어디로 움직일지가 승부를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