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대당 교통사고 발생 건수, 대전 94.85건 전국 최고 수준
교통문화지수도 광역시 최하위권…시민 의식 함양 필요해

교통사고.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교통사고.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충청투데이 최광현 기자] 대전시가 2년 연속 교통사고 최다 발생 지역으로 불명예를 안게 됐다.

여기에 교통문화지수마저 광역시 중 최하위를 기록하면서 근본적인 해법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4일 국민의 힘 배준영 의원실이 공개한 ‘전국 1만 대당 교통사고 건수’ 자료에 따르면 차량 1먄 대당 교통사고 발생 건수에서 대전은 94.85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높은 수치로, 최저치를 기록한 인천(43.24건)보다 2배 이상에 달하는 수치를 기록했다.

다른 충청권 도시들과 비교해도 대전의 사고 건수는 월등히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세종 55.43건, 충남 56.32건, 충북 69.99건과 비교해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대전은 2023년에도 95.46건으로 전국 1위를 차지한 바 있어 2년 연속 최다 사고 지역이라는 불명예를 이어가고 있다.

교통사고 최다 기록에 이어 낮은 교통 문화 수준은 문제의 심각함을 더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대전의 교통문화지수는 79.36점에 머물렀다.

비수도권 5개 광역시 가운데 가장 낮은 점수다.

교통문화지수는 운전자와 보행자의 습관, 교통안전 수준 등을 종합 평가하는 지표로 시민들의 교통안전 의식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결과가 단순히 차량 증가나 교통량 과다만의 문제가 아니라고 진단한다.

교통사고 건수와 교통문화지수가 모두 전국 최하위권이라는 것은 도시의 안전성과 시민의식 수준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그동안 대전이 단속 강화와 교통시설 개선에 나섰지만, 이런 물리적 대응만으로는 한계에 부딪혔다는 분석이다.

결국 대전이 교통안전 도시로 탈바꿈하려면 행정당국과 시민이 함께하는 종합적 노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또 교통안전 교육 확대와 함께 과태료를 대폭 인상해 억제 효과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지역의 한 교통 전문가는 "현재 교통법규 위반 과태료가 운전자들에게 실질적 부담이 되지 못하고 있다"며 "선진국처럼 위반 시 체감도를 높이는 강도 높은 정책과 더불어 시민들의 안전 인식이 높아질 때"라고 말했다.

최광현 기자 ghc011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