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승래 국회의원

▲ⓒ조승래 국회의원
▲ⓒ조승래 국회의원

바야흐로 인공지능의 시대다. AI는 세계적 흐름이자 추세이며 우리의 미래다. 어떻게 AI를 대비하느냐에 따라 국가도 개인도 운명이 달라질 수 있다. 이미 전 세계적으로 AI 기술 주도권 확보를 위해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지난해 미국은 AI R&D에 31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중국도 차세대 AI R&D 프로젝트에 5.34억 위안을 투자했다고 한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후보 시절부터 AI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AI 대전환’을 약속했고, AI 3대 강국 실현을 목표로 AI 분야 내년도 예산을 지난해 대비 3배 이상을 증액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전국의 지자체들도 앞다투어 AI 경쟁에 나섰다. 광주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 유치를 위해 관련 기업과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부산에서는 해양AI전략협의체가 출범하여 산업 전환과 혁신을 도모하고 있다. 대규모 국가 사업 확보 경쟁도 치열하다. 전북은 5년간 1조원 규모의 피지컬 AI 플랫폼 실증 거점으로 지정됐고, 경남도 1조원대 국책 사업을 확보했다. 그런데 정작 풍부한 연구 인프라와 인적 자원을 보유한 대전에서 이렇다 할 AI 전략이나 활동이 보이지 않는다.

내년도 AI 예산 중 약 절반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이다. 이 중 대전이 소재지로 명시된 사업들은 약 30여개인데, 대부분 기존에 하던 사업이거나 출연연에 배정된 사업들이다. 대전시가 선제적으로 지역에 특화된 사업을 제안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한발 늦었지만 대전시는 지금이라도 AI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지역에 위치한 여러 연구기관들과 교육기관, 기업들과 연계하여 대전에 특화된 AI 비전과 정책 아이디어를 제시해야 한다. 대외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보고서를 위한 전략이 아닌 대전의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한 진짜 전략이 필요하다. 그래서 필자는 대전시의 AI 전략을 위한 ‘협의체’ 구성을 제안한다. 대전시에 있는 AI 자원을 총동원해 신속하게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앞으로 AI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다. 대전의 AI 산업 세부 전략이 없으면 대전은 계속 뒤처질 수밖에 없다. 이는 결국 AI 관련 기업 유치 실패, 인재 유출 등 더 많은 기회와 부가가치의 상실로 이어질 것이다. 지금부터 제대로 준비하지 않으면 지역 경쟁력의 후퇴는 자명하다.

지역 균형 발전에 가장 큰 핵심은 지역 스스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다. 필자는 대전이 타 지역에 비해 많은 잠재성과 가능성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과학도시 대전’ 이야말로 지역 균형 발전 방향을 지자체가 직접 제시해 우리 스스로 자생할 수 있는 롤 모델을 만들 수 있다고 믿는다. 그렇게 되려면 ‘과학도시 대전’에 걸맞은 비전과 전략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대전시에 발 빠른 대응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