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4조7903억·세종 1조7279억·충남 11조9297억·충북 9조5070억 반영
[충청투데이 조사무엘 기자] 충청권 주요 현안 사업에 대한 2026년도 국비 지원 규모가 올해보다는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3면
정부 예산안에 담긴 충청권 4개 시도 관련 예산이 2025년도 대비 적게는 5%대에서 많게는 9%대까지 늘어나면서다.
다만 각 시도의 일부 핵심 현안 사업이 미반영되거나 축소, 향후 국회 심의과정에서 추가 확보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일 각 시도에 따르면 대전시는 4조 7903억 원, 세종시는 1조 7279억 원, 충남은 11조 9297억 원, 충북은 9조 5070억 원이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반영됐다.
2025년도 정부 예산안과 비교하면 대전은 7.6%, 세종 9.4%, 충남 9.18%, 충북 5.5%오른 결과다.
대전은 교통 인프라와 미래 신성장산업에 방점을 찍었다.
도시철도 2호선 트램(1800억 원),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547억 원), 경부고속도로 회덕IC 연결도로(93억 원), 대덕특구 동측 진입로(132억 원) 등 핵심 교통망 예산이 반영됐다.
신규 사업으로 사정교~한밭대교 도로 개설(35억 원), 대전형 스마트농업 첨단산업밸리 조성 타당성 용역(2억 원)이 포함됐다.
미래 신성장 분야에서도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우주기술혁신 인재양성 사업(30억 원), AI반도체 마이크로 데이터센터 확산 사업(42억 원), 이노베이션아카데미 고도화 및 확산 사업(72억 원) 등 연구·R&D 사업도 이름을 올렸다.
세종시는 행정수도 완성 관련 예산확보가 두드러졌다.
국회세종의사당 건립비 956억 원과 대통령세종집무실 240억 원이 각각 담기면서 국가 행정기능의 실질 이전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국립민속박물관(154억 원), 국립박물관단지(492억 원), 유네스코 해석센터(23억 원) 등 문화 인프라 확충 사업도 포함됐다.
충남은 국비 12조 원 시대를 목전에 두고 있다. 내년도 정부예산안에는 아산 경찰병원 건립(30억5000만 원), 국방미래기술연구센터(4억5000만 원), 국립호국원 조성(2억 원), 서해선경부고속선 연결(20억 원) 등 신규 현안이 포함됐다. 반도체 후공정 시험장(25억 원), 해양바이오소재 대량 생산 플랜트(5억 원) 등 첨단 산업 기반도 함께 반영됐다.
충북은 미래전략산업 기반 확충 관련 첨단소재·부품 연구개발의 핵심 인프라인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1188억 원), 바이오의약품 소부장 특화단지 육성(151억9000만 원), 세종~청주 고속도로(1023억 원) 등이 포함됐다.
반면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대전, 29억 6000만 원), 세종지방법원·검찰청 설치(세종), 충남대 내포캠퍼스 설립(충남) 등 예산은 예산안에 담기지 않았다.
충청권 지자체 한 관계자는 "올해보다 국비 규모가 늘어난 것은 큰 성과지만, 국회 심의 과정에서 증액과 미반영 사업 확보가 관건"이라며 "정치권과 긴밀히 협력해 충청권 현안들이 빠짐없이 담길 수 있도록 끝까지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