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건비 기술발달이 변화 이끌어
제한된 업종 단순한 상권 만들어
매출 부진, 추가 폐업 등 악순환
업종 유도, 브래드화 등 전략 필요

지하상가.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지하상가.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대전 골목상권이 무인화 흐름 속에서 빠르게 재편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이를 단순한 창업 형태 변화가 아닌 상권 구조 전반을 흔드는 변화라고 분석한다.

구조적 경기 불황과 노동 비용 문제, 소비 트렌드 변화가 맞물린 복합 요인이 배경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해석이다.

무인점포 확산의 가장 큰 배경에는 인건비 압박이 있다.

최근 몇 년간 최저임금이 꾸준히 인상된 데다 경기 침체로 매출이 줄어드는 이중 부담이 이어지면서 인력 고용 여력이 줄었다.

이에 점주들은 인건비를 아예 없애는 무인 운영으로 방향을 틀고 있다.

초기 창업 비용이 비교적 낮고 24시간 운영이 가능하며 인력 채용과 관리 부담이 없다는 점도 매력이다.

ICT 기술 발달과 비대면 소비 트렌드가 이 같은 흐름을 가속했다.

셀프 결제, 원격 관리, 실시간 재고 확인 시스템 등 기술적 인프라가 갖춰지면서 무인 운영에 대한 심리적·관리적 장벽이 낮아진 것이다.

다만 확산 속도만큼 부작용 우려도 크다.

현재 무인점포 업종은 편의점·카페·오락시설 등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상권의 업종 구성이 단조로워져 소비자가 머무는 시간과 재방문 요인이 줄어든다.

이는 매출 부진과 추가 폐업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불러올 수 있다.

고용 측면에서도 대면 서비스 인력 감소는 청년·중장년층의 일자리 축소로 직결된다.

특히 외부 프랜차이즈 본사 소속 무인점포가 늘면 매출 상당 부분이 지역이 아닌 외부로 유출돼 지역 경제 순환에도 악영향을 준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무인점포 확산이 거스를 수 없는 흐름임을 인정하면서도 지역 상권 지속 가능성을 위한 관리와 제도적 장치가 필요한 때라고 강조한다.

인건비 부담 완화는 물론 상권 특성에 맞춘 업종 유도나 로컬 브랜드 육성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안부용 대전소상공·자영업연합회장은 “인건비 부담 때문에 직원 한 명 쓰기가 어려운 현실에서 무인점포로 전환하는 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라며 “결국 사람을 쓰는 구조가 가능해야 전반적인 상권이 살아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조복현 한밭대 경제학과 명예교수 역시 “무인점포 확대를 막을 수는 없지만 업종 편중과 지역성 상실은 상권 경쟁력에 치명적일 수 있다”며 “지역 기반 창업 확대나 로컬 브랜드 육성을 통한 자본의 역외 유출 방지를 위한 유도책이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조정민 기자 jeongmi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