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리 대전본사 편집부 차장(부장 직무대리)
이재명 대통령의 충청 타운홀 미팅이 지난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됐다. 대통령이 직접 충청을 방문하여 시민들과 소통한다는 점에서 많은 이들의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었다. 특히, 해양수산부 이전과 행정수도 완성 등 충청권에 산적한 현안이 많았기에 이 부분에 대한 대통령의 심도 있는 생각을 들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컸다.
기대감을 안고 시작한 타운홀 미팅은 곧 의아함으로 바뀌었다. 질문자들은 행정수도 완성이나 해양수산부 이전에 대해 질문하기는커녕, 개인 민원을 읍소하는 바람에 결국 타운홀 미팅은 ‘민원 처리의 장’으로 변질되고 말았다. 회사의 불법적 해고, 정규직 전환, 특정 지역 개발 문제, 개인적인 소송 문제까지……. 선착순 300명 입장 방식이 예견한 일이었을까? 대통령 역시 질문 내용에 아쉬움을 표하며 타운홀 미팅은 막을 내렸다.
온라인 생중계로 온종일 지켜본 타운홀 미팅의 뒷맛은 너무나 씁쓸했다. 질문자들의 질문 내용도 문제였지만, 타운홀 미팅의 진행 방식에도 진한 아쉬움이 남았다. 대통령이 행정수도 완성에 관한 대화를 진솔하게 하고 싶었다면, 그에 맞는 방식을 택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는 없었을까.
후폭풍 또한 만만치 않았다. 세간의 관심이 집중된 타운홀 미팅답게 그날부터 타운홀 미팅 관련 유튜브 영상과 기사, 뉴스들이 온라인을 뜨겁게 달구었다. 대부분은 개인 민원 창구로 전락한 것을 비판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기에 영상 댓글은 온통 지역 혐오로 가득했다. 차마 입에 담지도 못할 지역 비하 단어와 질문자를 향한 악성 댓글들이 가득했고, 그에 반해 타운홀 미팅의 미흡한 진행 방식을 비판하는 댓글은 찾아볼 수 없었다.
대통령이 원하는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싶었다면 시민들을 무작위로 선착순 입장시켜서는 안 됐다. 더군다나 타운홀 미팅이 진행되는 시간은 오후 2시 30분이 아니었던가. 열린 소통을 위한 취지는 좋았지만 결국 무분별한 선착순 입장부터가 타운홀 미팅을 ‘민원 읍소의 장’으로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충청권 4개 시도지사를 초대하지 않은 것도 아쉬운 대목이다. 소통을 위해 대통령이 직접 지역을 방문하는 만큼, 소속 정당을 떠나 기초단체장들을 초청하여 함께 자리하도록 했다면 더 나은 소통의 장이 되지 않았을까. 기대가 크면 더 아쉬운 법이지만,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대통령이 소통을 중시하는 만큼, 아쉬웠던 첫 번째 충청권 타운홀 미팅을 뒤로하고 기대감을 120% 채워 줄 두 번째, 세 번째 타운홀 미팅을 기대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