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도청·도교육청 등 4개 노조
임금 현실화 요구 기자회견 열어
“공감은커녕 밥그릇 챙기기 눈총”
내부서조차 곱지 않은 시선 보내

충북도청과 충북도교육청, 충북소방, 충청우정본부 등 4개 기관 노조와 한국노총 충북지역본부가 22일 충북도청 잔디광장에서 임금 현실화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김영재 기자
충북도청과 충북도교육청, 충북소방, 충청우정본부 등 4개 기관 노조와 한국노총 충북지역본부가 22일 충북도청 잔디광장에서 임금 현실화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김영재 기자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전국이 큰 물난리로 시름하고 있는 와중에 충북지역 공무원 노조들이 내년도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공직사회 내부에서조차 눈치가 없다는 곱지 않은 시선을 받고 있다.

충북도청과 충북도교육청, 충북소방, 충청우정본부 등 4개 기관 노조와 한국노총 충북지역본부가 22일 충북도청 잔디광장에서 ‘2026년도 보수 및 수당 현실화’를 정부에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보수 6.6% 인상 △직급보조비 4만원 인상 △초과근무수당 단가 현실화 △정근수당·명절휴가비 각각 10% 인상 △정액급식비 6만원 인상 △공무원보수위원회법 제정 등을 요구했다.

이범우 충북도청노조위원장은 대표발언에서 "공무원 보수는 수년간 물가 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한 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며 "정권이 바뀌어도 보수 현실화는 외면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유여종 충북도교육청 노조위원장은 "퇴직 후 최대 5년까지 연금 지급이 유예되는 구조로 장기간 소득 공백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는 공무원들의 노후불안을 더욱 심화시키는 문제"라고 말했다.

이들은 "공무원의 권익은 곧 국민의 권리"라며 "공무원이 안정적이고 존중받는 환경에서 일할 수 있어야 국민에게 더 나은 행정서비스로 돌아갈 수 있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또 "인사혁신처 산하 공무원보수위원회는 실질적 권한이 없는 자문기구에 불과하다"며 "정부·노동계·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독립적이고 투명한 위원회로 거듭나야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부가 우리의 정당한 요구에 응답할 때까지 투쟁의 외침을 멈추지 않겠다"고 결의를 다졌다.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과 관련, "충북지역 공무원 노조가 선제적으로 한목소리로 보수·수당 현실화를 요구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향후 전국 단위로 확대될 가능성도 거론된다"고 자랑했다.

이 기자회견을 공직 내부에서 못마땅해 하는 반응이 있다.

충북도청의 한 직원은 "임금 현실화 요구는 당연한 것"이라면서도 "지금 전국에서 본격적인 수해복구 시작은 고사하고 피해가 이어지고 있는데 굳이 기자회견으로 보수 인상을 요구해 공직사회 전체가 남일 대하듯 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게 됐다"고 했다.

청주시청의 한 직원도 "어차피 내년 공무원 임금 인상률이 결정된 판에 하필 전국이 물난리로 비상시국인 상황에서 기자회견을 한 것을 이해할 수 없다"면서 "모든 일은 때가 있는 게 아니냐"고 일침을 놓았다. 그는 "임금 현실화에 대한 국민 공감은커녕 ‘이 눈치 저 눈치 보지 않고 자기들 밥그릇 챙기기에 여념이 없다’는 욕만 먹게 됐다"고 푸념했다.

인사혁신처 공무원보수위원회는 하루 전 내년 공무원 임금 인상률을 2.7∼2.9%로 결정했다.

충북도청 노조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기자회견) 시간 조정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공무원보수위원회가 어제(21일) 임금 인상률을 결정해 준비한 인력과 스케줄을 고려해 기자회견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