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이전 위기를 기회로]
충청 정치권 침묵에 민심 냉소
수도권 부처 추가 이전 우려도
여야 떠나 후속 조치 이뤄져야
[충청투데이 조사무엘 기자] 충청권 내에서는 해수부 부산 이전를 적극적으로 막지 못한 지역 정치권이 지역민에게 신뢰를 회복하려면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후속 행동에 즉각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16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해수부 이전을 둘러싼 논란은 지난 6월 부산으로의 이전에 대한 정부의 강행 의지와 ‘행정수도 완성’을 외치는 충청 민심이 충돌하면서 본격화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당선 직후 해수부 이전을 연내 이행할 것을 지시하고, 국정기획위원회가 이를 ‘신속 추진 과제’로 선정하면서 정부의 방침은 명확해졌다.
이에 세종시를 비롯한 충청권에서는 "대통령 공약 사항인 행정수도 완성과 정반대 행보"라며 거세게 반발하고 나섰다.
하지만 정작 여당이 절대다수를 차지한 충청권 국회의원들은 내내 ‘조심스럽다’, ‘말할 수 없다’는 식의 원론적 입장을 반복했을 뿐, 실질적인 정치 대응은 없었다.
이 과정에서 지역 민심은 냉소적으로 돌아섰고, 여권의 존재감에 대한 회의까지 퍼졌다.
여기에 지역 정치권 일각에서는 추가적인 기관 유출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해수부 이전이 끝이 아니라 시작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대구·경북에서는 의료산업클러스를 강화하기 위해 보건복지부 대구로 옮겨달라는 주장이, 울산에서는 중화학산업을, 경남은 기계조선산업을 위해 산업통상부를 이전하자는 주장까지 나왔다.
이렇다 보니 ‘행정수도 완성’은 여야의 정쟁이 아닌 초당적 공통 과제로 인식하고, 지역 정치권이 공조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더 이상 중앙정부의 결정만 기다리는 수동적 태도로는 행정수도 완성의 동력을 회복할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지역 여당 국회의원들이 국회 차원의 입법 추진과 행정부 설득에 전면에 나서지 않는다면, ‘행정수도 완성’이란 명분은 또다시 공허한 구호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지역 정치권 인사는 "해수부 사태는 충청권 여권의 실기(失機)를 보여준 대표 사례다. 해수부가 빠져나간 자리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이 아니라, 세종시의 상징성과 행정기능의 완결성이라는 측면에서 중대한 의미를 가진다"라며 "이제 정치권은 여야를 떠나 수도권 부처 이전과 국회 세종의사당 후속 조치 등 ‘행정수도 완성’의 현실화를 위해 전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조사무엘 기자 samuel@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