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대 전략산업 중심 빠르게 성장 중
5년 내 상장기업 100개 돌파 목표

이장우 대전시장은 1일 주재한 확대간부회의에서 대전의 전략 산업 육성과 그에 따른 공공벤처 캐피탈 지원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대전시 제공
이장우 대전시장은 1일 주재한 확대간부회의에서 대전의 전략 산업 육성과 그에 따른 공공벤처 캐피탈 지원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대전시 제공
이장우 대전시장은 1일 주재한 확대간부회의에서 대전의 전략 산업 육성과 그에 따른 공공벤처 캐피탈 지원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대전시 제공
이장우 대전시장은 1일 주재한 확대간부회의에서 대전의 전략 산업 육성과 그에 따른 공공벤처 캐피탈 지원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대전시 제공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대전시는 전략산업 중심의 첨단 도시 전환을 본격화하며 공공 주도의 벤처투자 생태계 구축에 나선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1일 확대간부회의에서 "대전투자금융㈜을 중심으로 지역 벤처기업에 집중 투자할 구조적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대전투자금융은 전국 최초의 공공벤처 캐피탈로, 2000억 원 규모의 모펀드 조성을 계획 중이다.

이 시장은 "바이오, 우주항공, 이차전지, 로봇 등 대전이 집중 육성하는 6대 전략산업이 공직사회의 적극적 규제완화와 현장 대응에 따라 빠르게 성장 중"이라며 "이 같은 생태계 조성을 통해 5년 내 상장기업 100개 돌파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시는 66개 상장기업을 보유해 전국 광역시 중 인천, 부산에 이어 세 번째 규모다. 민선 8기 출범 이후 18개 기업이 새로 상장됐다.

시는 공공 주도의 벤처투자를 통해 수도권 중심의 자본 편중 문제를 극복하고 지역 기업의 스케일업을 지원한다는 전략이다.

이 시장은 "투자와 육성이 함께하는 생태계 없이는 일류도시 도약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지역 정체성 강화를 위한 문화사업도 성과를 보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전 0시 축제'는 지역 이미지 변화를 견인하는 대표적 사례로, 2023년 첫 개최 이후 100만 명 이상 관람객을 유치하며 전국적 관심을 끌었다. 축제를 계기로 대전의 대표 음식점과 여행코스가 널리 알려졌고, 성심당은 같은 해 매출 1000억 원을 처음 돌파하는 등 지역 경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시는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한 긴축재정도 병행한다.

최근 세수 감소와 지방채 증가에 따라 재정운용 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 시장은 "앞으로 2~3년간 신규 인력 충원 없이 기존 조직으로 효율 운영하고 모든 사업은 우선순위에 따라 정밀하게 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시는 교도소 이전, 복지 확대, 소상공인 실질 지원 등 지역 현안도 함께 추진한다.

이 시장은 “대전교도소 이전이 꼭 필요한 상황”이라며“대전교도소가 위치한 지역구 국회의원께서도 국정위에 참여하고 있는 만큼 그 역할을 하실 것이고 어떤 방법으로든 매듭을 지어야 할 사항”이라고 말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