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 수리·생필품 할인 등 전방위적 지원
“농업인 보호·피해 최소화 농협 존재의 이유”

농혐 임직원과 고향주부모임, 농가주부모임 등 농협 육성모임 회원들이 영남지역 산불 피해 현장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 농협 제공
농혐 임직원과 고향주부모임, 농가주부모임 등 농협 육성모임 회원들이 영남지역 산불 피해 현장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 농협 제공
농혐 임직원과 고향주부모임, 농가주부모임 등 농협 육성모임 회원들이 영남지역 산불 피해 현장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 농협 제공
농혐 임직원과 고향주부모임, 농가주부모임 등 농협 육성모임 회원들이 영남지역 산불 피해 현장에서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모습. 농협 제공

[충청투데이 조선교 기자] 올해 3월 영남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한 피해가 확산되자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를 위한 성금이 사회 각계각층으로부터 전달됐다.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하는 기업들도 다양한 방법으로 성금 전달에 나섰는데,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성금을 전달한 기업 중 유독 눈에 띄는 기업이 농협이다.

농협은 산불 피해 극복을 위한 성금으로 30억원을 전달했고 이는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농협 9위) 중 가장 큰 규모의 기부였다.

5대 금융지주사 중에서도 가장 큰 규모의 기부로, 농협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피해지역 농축협 조합원 지원을 위한 11억원의 추가 성금을 모금했다.

농협은 성금 모금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행동에도 전면적으로 나섰다 .

정부가 재해대응 3단계를 발령하자 농협은 구호 물품과 인력을 현장에 보내기 시작했다.

가장 먼저 담요, 마스크 등 생활용품이 들어있는 재해 구호키트 700박스와 즉석밥을 비롯한 가공식품을 진화 현장과 피해 지역으로 보냈다.

대피령으로 대규모 이재민이 발생하자, 이재민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세탁차 3대를 급파하고 살수차, 방역차, 중장비 등 40대를 긴급 투입했다

지원된 구호품의 규모는 11억원을 넘어선다.

산불, 그 후의 문제도 농협의 고민이었다. 산불로 삶의 터전과 일터를 잃은 농업인에게 가장 시급한 것은 생계비 지원이었다.

농협은 조합원을 대상으로 3000만원까지 긴급생활안정자금을 지원하고 피해지역 주민에 대출 만기 연장, 상환 유예, 수수료 면제 등 금융 지원을 마련했다.

또 화마로부터 몸만 겨우 빠져 나온 이재민들에게 2억원 상당의 활동복, 속옷 등을 긴급하게 지원하기도 했으며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지역의 하나로마트에선 생필품을 20~50% 할인된 가격에 공급했다.

이번 산불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건 다름 아닌 농업 기반이었다. 농기계 피해만 약 1만여대. 비닐하우스, 창고, 곡물창고, 축사가 한순간에 불탔다.

농협은 이례적으로 재해자금 2000억원을 긴급 편성했다. 이는 비료, 농약, 사료 등 영농자재 반값 할인에 쓰이고, 농기계 수리와 농작업 대행비로도 지원된다.

농협은 73명의 인원과 차량 55대로 구성된 이동수리센터를 통해 피해 지역별로 농기계 수리를 지원했다.

영농활동 자체가 어려운 곳엔 재난지역 관내 조합원을 대상으로 농작업 대행팀이 투입됐다.

산불로 인한 농작물 피해도 막심하다.

농협은 신속한 농작물 피해 조사를 위해 조사인력 약 600명을 현장에 배치해 피해조사를 신속하게 실시하는 한편, 피해조사가 완료되면 가지급 보험금을 우선 지원하는 등 신속한 보험금 지급을 추진하고 있다.

화마로 인한 피해와 기억은 서서히 잊혀가고 있지만 농협의 노력은 멈추지 않고 있다.

범농협의 임직원 뿐 아니라 농협의 육성모임인 고향주부모임, 농가주부모임 등의 4000여명의 인력들이 산불 피해 복구 지원에 동원돼 화재 잔해 정리, 영농 지원 활동, 급식 및 세탁봉사 등에 참여했다.

산불, 홍수, 태풍 등 자연 재해는 농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농촌은 자연 재해에 취약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농업인들의 일터와 삶의 터전은 동시에 위험에 처한다.

이는 농협의 주인이자 핵심 구성원인 조합원들의 생계와 직결될 수 밖에 없고, 농협이 자연재해 극복에 진심일 수 밖에 없는 이유다.

농협 관계자는 "농협의 설립목적은 농업인 조합원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지위 향상"이라며 "재해로부터 농업인을 보호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은 곧 농협의 존재 이유와 맞닿아 있다"고 말했다.

조선교 기자 missio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