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유권자 TK·호남보다 많아
제3당 사라지며 핵심표심지역 부상
대선 결과따라 충청권 미래도 바뀌어
이재명·김문수 마지막까지 유세 매진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가 시작된 29일 대전시청 둔산1동 사전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고 있다. 김주형 기자 kjh2667_@cctoday.co.kr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가 시작된 29일 대전시청 둔산1동 사전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고 있다. 김주형 기자 kjh2667_@cctoday.co.kr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제21대 대통령선거가 단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대한민국은 다시 한 번 역사의 분기점에 섰다.

경기침체, 저출산, 양극화 심화 등 위기 속에 앞으로 5년을 책임질 국가 지도자를 뽑는 ‘국민의 선택’이 결정되는 순간이다.

3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제21대 대선 선거전은 오는 2일 자정, 22일간의 공식 선거운동 종료와 함께 막을 내린다.

이번 대선의 전체 선거인 수는 4439만 1871명으로, 2022년 제20대 대선 대비 19만4179명,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대비 11만1860명이 증가했다.

수도권 유권자 수는 서울, 경기, 인천을 합쳐 2262만 4305명으로 전체의 과반을 차지하며, 여전히 선거의 향방을 결정짓는 최대 변수다.

특히 이번 대선은 전략적 투표지로 충청권이 부상하며 기존 정치 지형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대전 124만1515명, 세종 30만7028명, 충남 183만8781명, 충북 137만8755명을 합쳐 총 476만 6079명에 달하는 충청 유권자 수는 보수의 텃밭인 대구·경북(425만9115명), 민주당의 전통적 기반인 호남(426만3071명)보다 50만 명 이상 많다.

그간 자민련 등 지역정당의 영향으로 전략적 투표가 어려웠던 충청권은, 제18대 대선 이후 제3당이 사실상 사라지며 수도권과 연동되는 핵심 표심 지역으로 급부상했다.

이번 선거는 단순한 정권 교체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당시 대통령이 군 통수권자로서 내렸던 비상계엄령 선포는 대한민국 헌정질서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계엄 발동 배경과 절차, 실행 과정에서의 위법성과 정치적 동기가 다수 지적됐으며, 이로 인해 지나달 4일 헌법재판소는 대통령 탄핵을 인용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는 대한민국 역사상 두 번째 대통령 탄핵 사례로, 시민의 저항과 법치 회복 요구가 거대한 흐름으로 분출된 결과였다.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된 현재는 유권자들의 최종 선택이 ‘깜깜이 판세’ 속에서 막판 표심에 달려 있는 상황이다.

특히 충청권은 높은 투표율과 더불어 예측 불가능한 표심으로 판세를 좌우할 최대 승부처로 부각되고 있다.

동시에 이번 선거는 충청권의 미래에도 중대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수도권과 맞닿은 지리적 이점과 성장 잠재력을 고려할 때, 이번 대선 결과에 따라 행정수도 완성, 교통망 확충, 첨단산업 육성 등 실질적인 지역 발전의 향방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지역 구도에 얽매이지 않는 충청 유권자 특성상, 이들의 선택이 승패의 결정적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한 표라도 더 끌어모으기 위해 선거운동 마지막 날까지 사활을 걸고 전국 유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두 후보는 경제 회복을 공통된 화두로 내세우며 민심을 공략하고 있다. 이재명 후보는 다시 한 번 민생 안정과 경제 활성화를 강조하며, 네거티브 공방과 거리를 둔 채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할 준비된 지도자의 면모를 부각시키고 있다. 반면 김문수 후보는 "경제를 살리기 위해 이재명을 막아야 한다. 경제는 살려본 사람이 살릴 수 있다"며 강한 경제 리더십을 내세우고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선거기간 막판까지 충청 민심 자체가 지지하는 정당이나 정치인이 명확하지 않은 성격을 짙게 띄고 있어 21대 대선에선 충청에서 어떤 표심이 표출될지 관심이 모아진다"고 말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