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군 농업정책 시리즈]
글 싣는 순서
1. 청양군, 푸드플랜·칠갑마루로 유통혁신
2. 청년이 돌아오는 청양농업, 스마트팜으로 미래를 연다
3. 농민 중심 제도개혁, 청양군이 해냈다!
2. 청년이 돌아오는 청양농업, 스마트팜으로 미래를 연다
郡, 2026년까지 100억 투입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
재배교육·기술지원 등 안정적 농업 진입 기반 마련
전문인력 배출·해외연수 등 교육 인프라에도 힘써
[충청투데이 윤양수 기자] 청양군이 보여준 농정 성과는 단순한 지방행정의 사례를 넘어 대한민국 농업의 방향을 다시 쓰고 있다. 인구 3만의 군 단위 자치단체가 푸드플랜, 통합마케팅, 청년 스마트팜, 제도개혁 등 구조적 혁신을 통해 농민의 삶을 바꾸고 있다. 위기의 농촌에서 가능성을 증명해 내고 있는 청양군의 도전과 성과는 대한민국 농정의 새로운 기준이 되고 있다. 본지는 민선 7기와 8기 동안 청양군이 실현한 농업·농촌 정책을 중심으로 지역이 중심이 되는 농정, 농민이 체감하는 정책, 청년이 돌아오는 농촌의 현실 가능성을 조명하고자 한다. <편집자주>
지방소멸 위기를 겪는 군 단위 지자체 청양군이 전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농업 청년 정책을 펼치고 있다. 핵심은 ‘청년 중심 스마트팜 클러스터 조성’ 고령화와 인구 유출로 위기에 처한 농촌에서 청년이 머물고, 뿌리내리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만든 것이다.
청양군은 먼저 초기 진입 장벽이 높은 스마트팜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사업’을 시작했다. 2023~2026년 10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이 사업은 청양읍 벽천리 일대 2.7ha 부지에 6개 청년농 팀(20명 내외)이 첨단 온실을 임대해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재배교육, 기술지원, 재생에너지 기반 냉난방 시설까지 갖춰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농업에 진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다.
이와 별도로 2024년까지 6개소(2.1ha)의 스마트팜 선도농가 육성사업(총 21억원), 2025년까지 32개소의 영농디딤돌 지원사업(7억원), 기초농자재 지원(1억원)도 함께 추진되며 청년농 중심의 농업생태계가 형성되고 있다.
특히 교육 인프라 측면에서도 혁신적이다. 2024년부터 농업인대학 스마트농업반을 개설해 36명의 전문 인력을 배출했고 2025년부터는 심화반을 운영할 예정이다. 2019년부터 2025년까지 해외농업연수(일본·대만 등)에 74명을 파견했으며 드론 자격증반과 충남도립대 스마트팜학과 신설 등 인력양성에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청양군은 스마트팜 단지에 ‘저탄소에너지 공동이용시설’을 구축할 예정이다. 91억원 규모의 지열 기반 난방시스템이 2025년 착공되며 이는 탄소중립 농업 실현과 동시에 생산비 절감을 통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충남형 스마트팜 복합단지 조성사업’도 진행 중이다. 청양읍 벽천정좌지구(10.9ha), 청남면 상장지구(11.1ha) 등 총 22ha 규모로 11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임대형 스마트팜과 더불어 영농 스타트업, 유통, 물류가 결합된 미래형 농업 단지로 발전하고 있다.
청양군의 청년 농업정책은 농촌에 청년이 돌아오게 만드는 유일한 모범사례로 자리잡고 있다. 이는 단순한 지원이 아니라 청년들이 선택할 수 있는 ‘미래 산업’으로서 농업을 재정의한 결과이며 지방소멸 해법의 청신호로 주목 받고 있다.
윤양수 기자 root5858@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