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서 열악한 원도심 숙박 실태 짚어
잘 곳 없는 야구팬 당일치기 관광 대다수
호텔 신축 대신 공유숙박업소 활용 제안

27일 사단법인 외국인관광도시민박협회가 '2025 대전 공유숙박 세미나'를 진행했다. 사단법인 외국인관광도시민박협회 제공
27일 사단법인 외국인관광도시민박협회가 '2025 대전 공유숙박 세미나'를 진행했다. 사단법인 외국인관광도시민박협회 제공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속보>= 체류형 관광도시 대전을 만들기 위한 숙박 인프라 문제 해결의 첫걸음으로 공유숙박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26일자 1·2·3면 등 보도>

27일 진행된 ‘2025 대전 공유숙박 세미나’에서 이은정 사단법인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협회 대전지부장은 강연에서 대전의 열악한 숙박 인프라 실태를 짚으며 규제 완화 필요성을 강조했다.

앞서 본보는 설문조사를 통해 대전한화생명볼파크 개장 이후 대전을 찾는 야구팬들의 당일치기 관광 비율이 약 83%에 달한다는 점을 꼬집었다.

대전 원도심 방문객의 체류형 관광을 막는 주요 요인에는 모텔 이외 숙소 부재와 가격 대비 부족한 컨디션 등이 지목됐다.

이 지부장은 “현재 대전 원도심에는 감성 숙소나 가족 단위 숙박이 가능한 공간이 다수 있지만 외국인 전용 규제로 인해 내국인은 이용도, 홍보도 어려운 상황이다”라며 “야구 관람객이나 성심당 투어 등 관광 수요가 계속 늘고 있음에도 머물 공간이 없어 대전이 경유지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대전에는 109개의 합법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소가 있으나 대부분 내국인을 받을 수 없어 ‘잠재된 인프라’로만 남아 있다는 것이다.

이에 당장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호텔 신축 대신 이미 존재하는 공유숙박업소를 활용하자는 현실적 대안이 제시됐다.

공유숙박업은 실거주 요건이 있어 무분별한 확장 우려가 적고 숙소를 직접 관리하는 구조로 품질 향상 효과도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특히 대전한화생명볼파크 인근처럼 단체 관광 수요가 많은 지역은 가족 단위 관광객을 흡수할 수 있는 중·대형 숙소 다양화가 필수적이라는 의견이다.

서울과 부산은 이미 외국인관광도시민박업에 실증특례를 적용해 외국인 뿐 아니라 내국인에게도 연 180일 한도로 공유숙박이 가능하다.

이에 실증특례를 적용 받은 플랫폼 기업 ㈜미스터멘션은 대전에도 실증특례 신청을 준비 중이다.

대전시 역시 현재 공유숙박 규제에 따른 관광 한계를 인지하고 있으며 실증특례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다만 규제 완화에 따른 부작용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지역 경제계 한 관계자는 “공유숙박은 관광 수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이지만 기존 숙박업계와의 형평성, 주거지역의 상업화, 안전·위생 문제 등도 함께 고려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조정민 기자 jeongmi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