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후보, 대전 세계적 과학수도·오송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로 육성 한마음
안전성 높은 원전 기술 필요성 공감하지만 에너지 전환 속도·활용도 견해차

제 21대 대선 세 후보 핵심 공약 한 눈에 보기. 
제 21대 대선 세 후보 핵심 공약 한 눈에 보기. 

[충청투데이 이심건 기자] 충청권의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과학기술과 바이오 산업 분야를 두고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들의 공약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관련기사 3면

대전을 세계적인 과학수도로 키우고 오송을 글로벌 바이오 클러스터로 육성하겠다는 비전은 큰틀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국민의힘 김문수·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간 차이가 크지 않다.

다만 이를 위한 세부 전략과 인재 확보 방안, 에너지 정책 방향 등에 대해서는 각 후보마다 뚜렷한 색깔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대선 결과에 대한 관심은 배가 된다.

이재명 후보는 대덕연구단지를 글로벌 혁신 클러스터로 전환하고, 삭감된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을 대폭 확대하겠다고 약속했다.

대전을 인공지능(AI)과 우주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해 미래 신산업을 이끌겠다는 구상이다.

청주 오송에도 K-바이오스퀘어 조성 등 글로벌 바이오 거점화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김문수 후보는 대전에 양자기술 클러스터 구축, 반도체 종합연구원 설립, 국방·우주 첨단기술 융합 허브와 핵융합 에너지 연구단지 조성 등 굵직한 프로젝트들을 쏟아냈고, 태양광 공동연구센터와 기후기술 실증 허브 등 과학기술 인프라 확충 계획도 담았다.

이준석 후보 역시 "과학수도 대전을 완성하겠다"며 연구 성과에 따라 과학자에게 월 최대 500만원까지 지급하는 ‘국가과학영웅 성과연금’ 도입을 내세워 눈길을 끌었다.

여기에 이재명 후보는 인재 양성 인프라 지원과 연구인력 처우 개선으로 젊은 과학자들이 안심하고 정착할 수 있는 연구 환경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김문수 후보는 지역 대학·연구소와 기업을 연계한 산학협력으로 현장 수요에 맞는 인재를 키우겠다는 입장이다.

또 이준석 후보는 성과 보상을 통해 과학기술인의 사기를 높이고, 최우수 인재의 국외 유출을 막아 대전에서 연구에 매진하도록 하겠다는 구상을 내놓고 있다.

특히 첨단 산업 육성과 맞물린 국가 에너지 정책도 후보별로 선명히 갈린다.

이재명 후보는 원자력 발전 비중을 현 수준으로 유지하며 재생에너지 투자를 확대해 2040년까지 석탄발전을 완전히 중단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반면 김문수 후보는 "원전 없이 탈탄소를 실현할 수 없다"며 건설 중인 신규 원전 6기를 차질 없이 완공하고 원전 비중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나아가 차세대 원전 기술인 소형모듈원전(SMR) 상용화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준석 후보는 별도 에너지 공약은 없지만 토론회 등에서 "원전이 가장 효율적인 에너지원"이라며 김 후보의 공약과 궤를 같이 한다.

세 후보 모두 안전성 높은 SMR 기술 도입 필요성에는 공감했지만, 에너지 전환 속도와 원전 활용도에선 이처럼 견해차를 보였다.

더욱이 충청권 첨단산업 공약은 지역의 높은 기대를 받고 있다.

후보들 구상대로 R&D 예산 증액과 인프라 확충이 이뤄진다면 충청은 대한민국 혁신성장의 중심축으로 도약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이는 선거 후 꾸준한 예산 지원과 정책 실행이 뒤따를 때만 가능하다.

정권이 바뀌어도 일관된 정책 지원이 지속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첨단산업 육성과 에너지 전환 정책이 충청권 미래를 좌우할 핵심 의제인 만큼 대선 이후에도 공약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지역 정치권이 지속적으로 견인하고 감시하는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심건 기자 beotkkot@cctoday.co.kr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