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뇌 속 단백질 ‘시트루인2’ 규명… 정밀 치료전략 제시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 치매의 기억력 저하에 관여하는 뇌 속 단백질 ‘시트루인2(SIRT2)'를 규명하고 별세포 대사 경로를 조절하는 치료전략을 제시했다.
기초과학연구원(이하 IBS)은 이창준 인지 및 사회성 연구 단장과 므리둘라 발라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이 뇌 속 별세포가 발현하는 단백질 ‘시트루인2(SIRT2)’가 기억력 손상을 유발하는 신경전달물질의 생성을 조절하는 핵심 단백질임을 규명하고 이를 억제함으로써 단기 기억력 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14일 밝혔다.
별세포는 뇌세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비신경세포로 신경세포 간 신호전달을 조율하고 뇌 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 알츠아이머와 같은 질병 환경에서는 별세포의 수와 크기가 증가하며 ‘반응성 별세포’로 변하는데 이는 초기 염증반응을 유도하고 신경퇴행의 시작과 진행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응성 별세포의 요소회로가 활성화되면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와 활성산소인 과산화수소를 생성해 뇌의 신호전달을 억제해 감퇴를 유발하고 신경세포를 손상시켜 알츠하이머 증상을 악화시킨다는 점에서다.
이에 연구진은 가바 생성을 조절할 수 있는 핵심열쇠로 가바 생성 경로의 마지막 단계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SIRT2에 주목하고 알츠하이머 모델 생쥐의 별세포에 발현된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SIRT2의 발현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한 것이 나타났다.
이와 함께 SIRT2를 억제한 결과, 가바 생성이 절반까지 감소해 신경세포 억제 작용도 약 30~40% 줄었으며 손상된 단기 기억이 정상 수준까지 회복되는 효과도 확인됐다.
아울러 연구진은 대사 경로의 마지막 단계에서 생성되는 SIRT2와 그보다 앞서 만들어지는 과산화수소수의 생성 단계가 다르다는 것이 알츠하이머의 병리를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이창준 단장은 “이번 연구는 별세포의 대사경로를 조절해 알츠하이머 치매의 기억력 저하를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특히 SIRT2는 가바 생성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핵심 표적으로 정밀한 치매 치료제 개발을 위한 유효 타깃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