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실 총괄 유관기관과 종합대책 수립
올해 산불 295건… 전년동기比 2배 급증
내년 산림재난방지법 시행 대응 변화 예고

임상섭 소방청장(오)이 8일 대전정부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김중곤 기자
임상섭 소방청장(오)이 8일 대전정부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김중곤 기자

[충청투데이 김중곤 기자] 최근 영남권을 중심으로 대형 산불이 연이어 발생한 가운데 정부가 이달 중 산불 방지 종합대책을 낼 것으로 보인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8일 대전정부청사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국무총리실이 총괄하고 산림청 등 유관 정부 기관이 참여해 종합대책을 수립 중이고 이달 중 발표 예정”이라고 말했다.

앞서 산림청은 지난 1월 ‘2025년 전국 산불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한 바 있지만, 지난달 경남 산청, 경북 의성, 울산 울진 등 영남권에서 동시다발적인 산불이 일어난 만큼 대책을 보강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산림청의 자료를 보면 7일까지 발생한 올해 전국 산불은 295건으로 지난해 같은기간(129건)보다 2배 이상 많았다.

특히 지난달 21일 산청 시천면에서 시작된 산불이 인근 경남 하동으로까지 번져 지리산 국립공원에도 피해를 입혔다.

의성 산불은 경북 안동까지 확산하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하회마을에도 불길이 닿는 것은 아닌지 주민과 관계기관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다.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지난달 29일 기준 전국 산불 사상자를 사망 30명 포함 75명으로 집계하기도 했다.

이달 나올 정부의 산불 종합대책에는 여러 차례 지적된 임도 부족과 수종 갱신, 진화헬기 장비 노후화 등 문제에 대한 개선 방안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또 지리산 국립공원도 산불 피해에서 안전하지 않았던 만큼 관리 주체가 환경부인 국립공원에서 산림청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내용도 포함될지 주목된다.

임 청장은 간담회에서 내년 2월 시행하는 산림재난방지법에 거는 기대도 내비쳤다.

산림재난방지법은 산림재난 관리의 공간 범위를 산림에서 그 인접지역으로 확대하고, 산림청장에게 위험징후 감지 시 주민대피명령을 기초지자체 등에 요청하는 권한을 부여하도록 한 것이 골자다.

임 청장은 “(산림재난의 관리 범위와 소방청의 권한 확대 등) 산림재난방지법으로 산불 대응에 있어 실질적인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중곤 기자 kgony@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