썩지않는 전정가지·고춧대 등 소각 관행
산불 예방차원서 금지… 파쇄지원단 운영
충북 지원규모 전체 밭 1% 안팎에 불과
농민 “그냥 쌓아둘수도 없는 노릇” 하소연

밭두렁 불법소각[연합뉴스 자료사진]
밭두렁 불법소각[연합뉴스 자료사진]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충북도내 일선 시·군이 산불 예방을 위해 농가에서 처리에 골치를 앓고 있는 영농부산물의 파쇄 지원을 하고 있지만 수요가 많아 역부족인 상태다.

경작지에 비해 지원 가능 대상이 턱없이 부족해서다.

6일 충북도 농업기술원 등에 따르면 일선 시·군농업기술센터가 지난달부터 ‘찾아가는 영농부산물 파쇄지원단’을 운영하고 있다.

농촌에서 본격적인 영농철 시작 전에 농사 준비를 위해 과일나무 전정가지, 고춧대, 깻대 등 영농부산물을 태우다 산불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다. 일선 시·군은 영농부산물 소각은 불법이라며 적발 시 과태료를 부과하겠다고 농촌지역에 으름장을 놓은 상태다.

농촌에서는 노지에서 쉽게 썩지 않는 전정가지와 고춧대, 깻대를 소각 처리하는 게 관행이었다.

이 소각 과정에서 산불로 이어지는 경우가 잦자 파쇄지원단이 꾸려졌다.

지난 23일 옥천군 청성면 산불이 영농부산물 소각 중 실화로 추정되는 등 최근 3년간 충북도내에서 발생한 산불 69건 중 10건이 영농부산물 또는 쓰레기 소각이 원인이라고 한다.

파쇄지원단은 농가의 신청을 받아 현지를 방문해 영농부산물을 파쇄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하지만 파쇄지원단 규모에 비해 워낙 신청이 많아 일부에서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신청을 받지 않고 있다.

올해 충북도내 11개 시·군이 운영하는 파쇄지원단은 36개조 120명이다.

지역별로는 청주 3개조 6명, 충주 5개조 23명, 제천 3개조 9명, 보은 3개조 12명, 옥천 2개조 6명, 영동 3개조 9명, 증평 2개조 10명, 진천 7개조 21명, 괴산 3개조 9명, 음성 3개조 3개조 9명, 단양 2개조 6명 등이다.

파쇄지원단이 처음 운영된 지난해 처리 면적은 776㏊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충북지역 경작지는 논 3만 4628㏊, 밭 5만 9588㏊ 등 9만 4216㏊다.

영농부산물이 주로 밭에서 생산되는 것을 감안하면 파쇄 지원을 받은 면적은 전체 밭의 1% 정도에 불과하다.

농업기술원은 농가에서 개별적으로 신청하면 이동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돼 마을 단위 신청이 파쇄지원단 운영 측면에서 효율적이라는 입장이다.

농촌에서는 반대로 이럴 경우 마을 한 곳에 소각장을 마련하고 이곳에 경작지에 있는 영농부산물을 옮겨야해 대부분 고령층인 인적구조상 적합하지 않다고 한다.

시·군 농기계 임대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파쇄기 193대를 임대하고 있는데 이 또한 개인이 임대은행에서 농지까지 옮겨야 해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농정당국도 이 부분은 인정하지만 뚜렷한 해결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청주지역 한 농민은 "농업기술센터에 파쇄 신청을 하려 전화했더니 250가구가 배정돼 (신청 접수가) 끝났다고 하더라"면서 "낭성면 한 곳 만해도 농사짓는 농가가 250가구는 넘을 것"이라고 푸념했다.

그는 "잘 썩지도 않는 고춧대와 깻대를 밭에 마냥 쌓아둘 수도 없는 노릇이 아니냐"며 "산불 때문에 태우지 못하게 하려면 현실에 맞는 지원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