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권 15평 상가 임차 15% 이상 급증
커지는 월세 부담 ‘사업 지속성 위기’
충청권 창업 2.7회·폐업 2회 기록 우려
“울며 겨자먹기로 가격 인상해” 하소연

한 상점에 임대광고가 붙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 상점에 임대광고가 붙어 있다.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최근 대전 상가 임대료와 전환율이 함께 증가하면서 상인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높아진 운영비 부담에 장기적으로는 상권 지속 가능성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는 분위기다.

21일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의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 조사’ 자료에 따르면 대전의 소규모 상가 임대료는 지난해 4분기 기준 평(3.3㎡)당 5만 160원으로 전년 동월(4만 3560원) 보다 크게 올랐다.

약 15평 크기의 상가를 임차한다고 가정했을 때 임대료가 65만원 가량에서 75만원 이상으로 약 15%가까이 급증하는 셈이다. 중대형 상가 평(3.3㎡)당 임대료 또한 같은기간인 2023년 4분기 5만 9070원에서 지난해 4분기 6만 2000원으로 눈에 띄게 상승했다.

중대형 상가 최소 기준인 100평에 대입해 임대료가 약 590만원에서 620만원까지 불어난다. 그만큼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이 커진 것.

문제는 임대료뿐 아니라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전환율’도 함께 오르고 있다는 점이다.

2022년 4분기 대전 소규모 상가 전환율은 5.89%였지만, 2023년 4분기 5.98%, 지난해 4분기는 6.72%로 상승했다.

중대형 상가 역시 같은 기간 5.91%에서 6.01%, 6.75%로 꾸준히 증가했다.

예를 들어 보증금 1억원, 월세 100만원인 상가에 전환율 6%를 적용하면 추가 월세 50만원(연 600만원)이 더해지는 구조다. 이미 오른 임대료에 전환율 부담까지 가중되면서 실질적인 월세가 계속 상승하는 것이다.

한 폐업한 고깃집에서 관계자들이 철거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2025.3.10 사진=연합뉴스.
한 폐업한 고깃집에서 관계자들이 철거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2025.3.10 사진=연합뉴스.

하지만 초기 투자 비용 부담을 줄이려는 자영업자들은 높은 보증금보다 월세를 늘리는 방식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이는 장기적으로 월세 부담을 더 키우는 결과로 이어져 사업 지속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

중소기업중앙회의 ‘2025년 폐업 소상공인 실태조사’자료에서도 충청권 소상공인은 최저임금과 임대료, 관리비 급등(58.8%)을 주요 경영난 요인으로 꼽고 있다.

폐업을 선택한 이유에도 수익성 악화 및 매출 부진(90.1%), 임대 기간 만료나 불리한 계약 조건(28.2%) 등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임대료 부담이 결국 폐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 충청권 소상공인 창업·폐업 횟수는 각각 2.7회, 2회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자영업자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이라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대전 서구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박 모(42) 씨는 "지난해와 비교해봐도 매출 하락세는 크게 체감되는데 임대료는 몇십만 원 가까이 올랐다"며 "최저임금 인상, 원재료비 상승에 이어 임대료 부담도 계속 커져 울며 겨자먹기로 메뉴 가격을 인상했음에도 수익은 줄어들기만 한다"고 한탄했다.

조정민 기자 jeongmi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