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급률 상위권 대부분 특별시·광역시… 충북도·충남도 전국 평균 훨씬 밑돌아
도·농지역 인구 밀집도 낮아 사업 우선 순위 밀려 정부 행정적 지원 확대 필요

하수도. 아이클릭아트 제공.
하수도. 아이클릭아트 제공.

[충청투데이 김동진 기자] 전국 광역단체 중 대도시지역과 도·농복합지역간 하수도보급률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주여건의 차이로 인해 균형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전국 17개 광역단체의 최근 3년간 하수도보급률은 평균 95% 수준이다.

이 가운데 상위권을 차지하는 지역은 대부분 특별시와 광역시 단위다.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하수도보급률이 전국 평균을 웃도는 지역은 서울시를 비롯해 부산시, 울산시, 광주시, 대구시, 대전시, 세종시, 인천시 등 대도시지역이다.

도 단위 중에선 경기도가 유일하게 전국 평균보다 높다.

반면 도·농복합지역인 대부분 도 단위 지역의 하수도보급률은 전국 평균을 밑도는 등 열악한 상황이다.

충청권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충청권 4개 광역단체의 최근 3년간 하수도보급률을 보면, 대전시는 2021년 98.1%. 2022년 98.0%, 2023년 98.0% 등으로 전국 평균을 상회한다.

세종시 역시 2021년 97.0%, 2022년 97.8%, 2023년 97.8%로 전국 평균보다 높다.

순위로는 전국 17개 광역단체중 대전시는 6위, 세종시는 7위지만 100%인 서울시를 제외하곤 대부분 격차가 없어 사실상 최상위권이다.

그러나 도·농복합지역이 많은 충북도와 충남도의 하수도보급률은 상대적으로 열악하다.

충북도의 하수도보급률은 2021년 89.4%, 2022년 89.5%, 2023년 89.8% 등 전국 평균을 훨씬 밑돈다.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14위 수준으로 최하위권이다.

충남도의 하수도보급률 수준은 더욱 열악하다.

2021년 82.7%, 2022년 83.4%, 2023년 84.1%로 해마다 소폭 상승하고 있지만 전국 평균보다 10% 이상 낮은 수준이다.

전국 17개 광역단체중 최하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배경이다.

하수도 보급률은 ‘총인구 중 공공하수처리시설·폐수종말처리시설을 통해 처리되는 하수처리구역 내 하수처리 인구 비율’을 뜻한다.

하수도보급률이 낮을수록 하수처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주민들이 수질 오염 등으로 위생보건 위험에 노출돼 있는 셈이다.


이는 정주여건 개선 등 인구 유입 여건이 열악, 균형발전을 가로막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인구 밀집도가 낮아 정부 차원의 하수도 보급사업 우선순위에서 밀리다보니 대도시와 도·농복합지역간 하수도보급률 격차는 더욱 벌어지는 것도 한 요인이다.

하수도 등 공공기반시설의 경우 대부분 국비에 의존하고 있는 데다 사업 특성상 인구밀집도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농복합지역의 주민 보건위생 향상과 정주여건 개선 등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국비 지원과 사업 확대 등 정부의 행·재정적 지원 확대가 요구된다.

김동진 선임기자 ccj1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