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부산 방문 PK 챙기기 열중
민주, 국민펀드 조성 등 적극 행보
국힘 “李 정치 꼼수… 현안 나몰라라”
권성동 “펀드 조성 현실성 無” 비판

우원식 국회의장이 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집무실에서 열린 에서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 등 양당 원내지도부와 기념촬영 하고 있다.왼쪽부터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 권성동 원내대표, 우원식 의장,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 진성준 정책위의장. 2025.3.6 [공동취재] 사진=연합뉴스.
우원식 국회의장이 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집무실에서 열린 에서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 등 양당 원내지도부와 기념촬영 하고 있다.왼쪽부터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 권성동 원내대표, 우원식 의장,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 진성준 정책위의장. 2025.3.6 [공동취재] 사진=연합뉴스.

[충청투데이 김대환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탄핵정국 주도권을 잡기 위해 연일 민생 광폭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정국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여권은 이재명 대표를 정조준하며 진정성을 비판하고 있다.

야권은 사실상 조기대선을 염두에 두고 민생 경제와 안보 등 활동 폭을 넓히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운신의 폭이 좁아진 여권은 공격적인 행보보다는 일단 ‘방어’에 치중하는 모습이다.

전날 국회에서 한국경제인연합회와 만나며 정책을 논의한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6일 ‘험지’로 분류되는 부산을 찾아 민생 행보를 이어갔다.

이날 박형준 부산시장을 만난 이 대표는 부산 지역 숙원사업인 북극항로 개척을 주요 성장 전략으로 제시하는 등 PK 민심 파고들기에 집중했다.

정치권에선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인용과 그에 따른 조기대선을 염두에 둔 상황에서 열세 지역으로 꼽히는 PK지역을 찾아 대권 가도를 다지려는 의도로 해석하고 있다.

오는 20일 이재영 삼성전자 회장과 만나기로 하는 등 이 대표의 경제 광폭 행보가 선명해지면서 여권은 심기가 불편한 상황이다.

당장 국민의힘은 이날 이 대표의 부산행을 두고 "조기대선을 염두에 둔 얄팍한 정치 꼼수"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김도읍·이헌승 의원 등 부산 지역 의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그동안 부산 현안은 나 몰라라 하더니 ‘왜 이제야?’라는 생각이 든다"며 진정성을 의심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이번 부산행은 혹시 있을지도 모를 조기 대선에서 캐스팅 보트를 쥔 부산 민심을 다독이려는 의도라는 것을 시민들은 다 알고 있다"면서 "정작 부산시민 5만명 이상의 청원을 받은 산업은행 부산 이전은 언급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작년 총선에서 부산 18개 선거구 중 겨우 1석을 건진 이 대표는 통렬한 반성부터 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민주당이 이날 조성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50조원 규모의 국민펀드에 대해서도 여당은 실현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내 첨단 전략산업에 대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규모 국민펀드 조성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이 대표가 제안한 뒤 여당의 비판이 이어졌던 ‘한국판 엔비디아(K엔비디아) 국부·국민펀드 조성’ 구상을 구체화 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민주당은 국민과 기업, 정부, 연기금 등을 대상으로 국민 참여형 펀드를 최소 50조원 규모로 조성해 이를 국내 첨단 전략산업 기업이 발행하는 주식이나 채권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민의힘은 국민펀드와 관련해 실패시 책임 소재와 효과성 등을 들어 반대 입장을 밝히며 민주당을 견제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펀드 조성이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국민으로부터 펀드를 받으려면 성공 가능성이 굉장히 높아야 하고 만에 하나 펀드를 모집해서 실패할 경우 누가 책임을 지는 것인지 책임 소재도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업이 자발적으로 투자해서 연구하고 거기에 정부의 재정으로 지원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민의힘은 이날 당내에 ‘중산층·서민경제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경제 정책 추진을 천명했다.

‘중산층·서민경제위원회’는 민주당 이 대표의 대표 정책 방향인 기본사회 주장 등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김대환 기자 top736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