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인구 확대·일자리 창출·맞춤형 사업 추진
[충청투데이 윤양수 기자] 청양군이 지방소멸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26년 지방소멸대응기금 활용 전략을 구체화한다.
군은 지난달 28일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수립 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기존 사업 성과를 점검하는 한편 인구 유입과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맞춤형 사업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보고회에는 김돈곤 군수를 비롯해 윤여권 부군수, 관련 실·과장, 전문가 등 15명이 참석했다.
보고회에서는 청양군의 인구 현황과 지방소멸 위험 진단을 바탕으로 타 지자체의 우수사례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생활인구 확대 △정주여건 개선 △일자리 창출 등을 핵심 전략으로 설정하고 관광, 스포츠, 복지 등 군 특성을 고려한 분야별 연계 방안과 청년층 유입 및 정착을 위한 구체적인 사업계획이 제시됐다.
청양군은 2022년부터 현재까지 총 320억 원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확보하고 12개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청년 셰어하우스 '함께 살아U' 건립, 청양 키즈 놀이동산 조성, 청양 탑 클래스 학습지원, 일자리 플랫폼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현 가능성과 파급효과를 인정받았다.
또한 청양군은 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행정 절차를 개선하고 사업 특성에 맞춘 실행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예산 운용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타 지자체의 우수 사례를 분석해 청양군에 적합한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지방소멸 위기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배분·평가체계를 개선해 우수 지자체를 집중 지원하고 있다. 2025년부터는 지방소멸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우수 지자체에게 지방소멸대응기금 최대금액을 144억 원에서 160억 원으로 늘려 지원할 계획이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 정책은 청양군이 추진하는 다양한 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김돈곤 군수는 "청양군의 미래를 위해 지방소멸대응기금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면밀히 살펴 생활 인구 유입은 물론 정주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겠다"며 “이를 위해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과 점검과 안정적인 추진 체계를 구축하여 2026년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평가에서 기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윤양수 기자 root5858@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