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농식품부, 청년농 비대위와 간담회
후계농 육성자금 못 받은 청년농 절규
상시대출 막히면 올 농사 포기 우려 ↑

[충청투데이 조정민 기자] [속보]=정부 사업에 선정되고도 정책자금을 지원받지 못한 청년후계농들이 조속한 해결책을 요구해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는 7월 상시대출 전환 대안을 제시했다. <4일자 1·4면 보도>

5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청년 농업인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와 정부세종청사에서 간담회를 열고 후계농 육성자금 관련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사업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

후계농업경영인 육성자금은 농식품부가 청년농(40세 미만)과 후계농(50세 미만·영농 경력 10년 미만)에 세대당 최대 5억원의 창업·경영개선자금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문제는 예산 규모가 줄었는데 지원 대상은 오히려 정책 시행 초기 몇백명에서 지난해 수천명대로 늘며 예산 부족 문제가 속출했다는 것이 지역 청년농들의 설명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청년 농업인 11명이 참석해 직접 자신의 피해 사례를 증언했으며, 일부 참석자는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고 전해졌다.

비대위는 피해 회복을 위한 ‘상시대출의 조속한 복구’를 재차 요청했지만, 이날 농식품부는 오는 7월부터 재개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비대위 관계자는 “최소한 3월로 앞당겨야 작물 식재 시기를 놓치지 않고 피해를 줄일 수 있다”며 반발했다고 간담회 상황을 전했다.

정책자금 대출이 오는 7월에야 가능하다면 사실상 올해 농사는 포기하라는 말과 다름 없다는 것이다.

청년농들의 반발에 농식품부는 “현재 피해자 구제를 위한 추가 모집 대상자들이 있어 이들의 대출 집행이 마무리돼야 남은 예산을 확정할 수 있다”며 “최대한 시기를 앞당길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정확한 일정은 제시하지 않았다.

한편 농식품부는 이날 논의된 의견을 바탕으로 후계농 자금 및 영농정착지원사업의 운영 방향을 면밀 검토할 예정이다.

조정민 기자 jeongmin@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