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 후 미분양 50개월 만에 최고
당정, 해결 위해 DSR 완화 등 검토
지역 업계 “차별화된 혜택 있어야”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국토교통부]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국토교통부]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충청권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수가 50개월 만에 2000호에 육박하고 있다.

정부·여당이 미분양 물량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에 머리를 맞댄 가운데 업계에서는 경기침체 장기화로 위축된 주택수요를 살리기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숫자는 2만 1480호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1만 8644호) 대비 15.2%가 상승한 것으로 지난 2014년 7월 이후 2만 호 이하로 떨어졌던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수가 10년 5개월 만에 2만 세대를 돌파한 것이다.

권역별로 비중으로는 전체물량의 64%가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권에 몰려있어 미분양 매물의 지방쏠림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시기 충청권에서도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수는 1966호로 집계돼 2020년 11월 이후 5년 만에 ‘준공 후 미분양’ 매물이 2000세대에 임박하며 매물적체가 확인됐다.

이와 함께 같은 달 기준 충청권의 미분양 매물도 전월(7673호) 대비 약 8% 증가한 8296호를 기록해 지난해 6월 이후 줄었던 미분양 매물이 소폭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지역 부동산 시장의 침체분위기를 조장하고 건설사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증가세를 보이면서 정부·여당은 대책 마련에 들어간 상태다.

이를 위해 국민의힘은 4일 국회에서 열린 ‘경제분야 민생대책 점검 당정협의회’를 통해 비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 해소를 위한 대응책을 정부에 건의했다.

당정협의회에서는 △1주택 특례 △한시적 DSR 완화 △사업자 원시취득세 감면 등 규제완화 및 세재혜택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지역에서는 지방권의 미분양 문제 해소를 위해선 위축된 주택수요를 살리는 것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위축된 시장 자체가 살아나지 않는다면 ‘준공 후 미분양’ 주택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해도 실효성이 낮을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점에서다.

지역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미분양 물량이 해소되기 위해서는 침체된 부동산 경기를 끌어올리는 것이 우선 시 돼야 한다”며 “경기활성화 없이 인센티브만으로 악성재고인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을 해소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방권에 대한 차별화된 혜택이 주어져야 시장의 기대심리가 살아나고 미분양 물량에 대한 관심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