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명→민선8기 들어서며 반토막
건설기술심의·실시계획변경 등 절차남아
후속절차 이행 위해 전담조직 강화 필요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산내 평화공원이 2년여만에 기획재정부 타당성재조사를 통과한 가운데 대전 동구에 전담조직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전담 인원은 관리자를 포함해 단 2명뿐으로 착공까지 남은 후속절차가 상당한 만큼 인력 보강이 시급히 요구된다.
대전 동구는 민선7기 공원녹지과에 전담조직으로 산내평화공원팀을 신설했다.
정부가 산내 골령골을 ‘한국전쟁 민간인 희생자위령시설’ 조성 부지로 선정하며 지자체 차원에서도 전담팀을 꾸려 적극 대응에 나선 것이다.
당시 동구는 한국전쟁으로 인한 민간인이 희생된 참상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영국인 데이비드 밀러씨를 국제협력보좌관으로 임용하는 등 파격적인 인사를 단행한 바 있다.
신설 당시 팀장을 포함해 3명이었던 조직은 2021년 6명으로 인력이 증원됐다.
그러다 민선8기에 들어서며 지난해 상반기 3명으로 인력이 반토막 났고, 현재는 단 2명뿐이다.
지난해 3월부터 기재부가 타당성재조사에 들어가며 사실상 사업이 전면 중단된 것이 감원의 주 이유다.
문제는 내년부터다.
타당성재조사가 마무리 돼 멈췄던 사업을 다시 재개해야 하는데 현재 인력으로는 신속한 사업추진이 어려운 상황이다.
중단됐던 실시설계가 다시 시작되면 △설계안정성 검사 △설계적정성 검토 △건설기술심의 △실시계획변경 등 후속절차들을 함께 이행해야 한다.
특히 까다롭다는 BF(장애물없는 생활환경 인증제) 인증도 받아야 하는데 이 작업만 6개월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사업지 보상 과정에서 소송 2건이 함께 진행되고 있어 인력 보강은 불가피하다.
유가족들과 지역 시민사회단체들 역시 이미 목표 완공 시점에서 4년 이상 늦어진 만큼 조직력을 강화해 신속한 사업 추진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대전 동구 관계자는 “그간 기재부 타당성조사로 사업이 지연돼 자연스럽게 전담조직도 축소됐던 것 같다”며 “내년부턴 본격적으로 남은 행정절차에 착수해야 하는데 인력보강의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공감한다”고 설명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