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배·엄태영·박덕흠 의원
7일 표결 불참… 비난 확산
“주위 눈치보며 결정할 듯”

▲ 충북 시민사회단체 등이 10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표결에 불참한 여당 의원들을 압박하고 나섰다. 이종배(충주) 의원 충주사무소 앞에 ‘내란공범 이종배’, ‘민주주의는 죽었다’란 말을 새긴 근조화환이 서 있다. 
▲ 충북 시민사회단체 등이 10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표결에 불참한 여당 의원들을 압박하고 나섰다. 이종배(충주) 의원 충주사무소 앞에 ‘내란공범 이종배’, ‘민주주의는 죽었다’란 말을 새긴 근조화환이 서 있다. 사진=이상복·김의상·이진규 기자
엄태영(제천단양) 의원 제천사무소 앞에는 ‘탄핵 찬성해라’, ‘의원님, 당신이 부끄럽습니다’란 문구가 새겨진 띠가 걸려 있다. 사진=이상복·김의상·이진규 기자
엄태영(제천단양) 의원 제천사무소 앞에는 ‘탄핵 찬성해라’, ‘의원님, 당신이 부끄럽습니다’란 문구가 새겨진 띠가 걸려 있다. 사진=이상복·김의상·이진규 기자
박덕흠(보은옥천영동괴산) 의원 영동사무소 앞 바닥에는 ‘쿠데타 부역자 사형’이란 붉은색 락카 글씨가 눈길을 끈다. 사진=이상복·김의상·이진규 기자
박덕흠(보은옥천영동괴산) 의원 영동사무소 앞 바닥에는 ‘쿠데타 부역자 사형’이란 붉은색 락카 글씨가 눈길을 끈다. 사진=이상복·김의상·이진규 기자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일부 국민의힘 의원들이 오는 14일로 예상되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 때 찬성표를 던지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충북지역 의원들의 행보가 관심이다.

이종배(충주), 엄태영(제천·단양), 박덕흠(보은·옥천·영동·괴산) 등 국민의힘 충북지역 의원 3명은 지난 7일 1차 탄핵안 표결에 불참했다. 당시 표결 불참은 국민의힘 당론이었다.

김상욱 국민의힘 의원은 1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윤 대통령 탄핵소추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의원은 "이번 비상계엄은 보수의 가치를 판단 기준으로 할 때 가치에 정면으로 반하는, 용인할 수 없는 절대적 잘못이고 엄단해 반복되지 않게 해야 할 국가범죄"라며 "깊이 사죄하는 마음으로 반헌법적, 반민주적 비상계엄을 기획한 대통령에 대한 차회 탄핵 표결에 찬성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지난 7일 표결에 참여는 했지만 반대표를 던졌다.

김 의원과 같이 1차 탄핵안 표결에 참여했던 안철수 의원과 김예지 의원은 찬성했다.

친한(친한동훈)계에서 윤 대통령의 퇴진 로드맵을 당 지도부에 조속한 윤 대통령 퇴진 로드맵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김 의원은 "탄핵 찬성에 뜻을 같이하는 의원들이 상당수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탄핵 찬성 의원 규모와 관련해 "단언해 말씀드릴 수는 없지만 탄핵 통과에 충분한 숫자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때문에 14일 표결이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현재 이종배 의원 등 3명의 지역사무실 앞에서는 탄핵 찬성을 촉구하는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또 개인 소셜미디어(SNS)에 12·3 계엄 선포 전에 쓴 글에 표결 불참 비난 댓글이 달릴 정도로 혹독한 책임 추궁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당 내부 분위기 변화까지 감지되며 이들 의원이 2차 탄핵안 표결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할지에 시선이 쏠린다.

지역정가에서는 이들이 소신 있는 행동보다는 당내 다수 의견에 따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이종배 의원과 엄태영 의원은 60대 후반으로 각각 4선, 재선이고 70대 초반인 박덕흠 의원은 4선이다.

이들 모두 오는 2028년 예정된 다음 총선 출마를 염두에 두고 행동할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들은 현재 언론과의 접촉을 피하고 있다.

지역정가의 한 인사는 "이종배, 엄태영, 박덕흠 의원은 계파 색채가 옅은 축에 속한다"며 "이게 오히려 소신 있는 행동을 어렵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4일에 탄핵안 표결이 진행되면 (이들은) 주변의 눈치를 살피며 참여 또는 불참을 결정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민주당 충북도의원과 청주시의원들이 이날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의힘에 탄핵안 표결 참여를 촉구했다.

이들은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으로 구현할 때만이 정당으로서의 존재 이유를 확보할 수 있다"며 "만약 국민의힘이 다음 탄핵 표결에서도 민의를 거역하고 불참한다면, 내란 수괴의 공범으로서 사법적·역사적·국민적 심판을 면치 못할 것"이라며 "국민은 결코 이를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