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혼란에 수요자 주택 매수심리 위축
거래 줄며 부동산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
불확실성 해소 전까지 시장 침체 불가피
[충청투데이 윤경식 기자] ‘대통령 탄핵’을 둘러싼 정치권의 줄다리기가 본격화된 가운데 지역에서도 국정혼란의 장기화에 따른 부동산시장의 장기침체를 우려하고 있다.
특히 대출규제 강화에 따른 자금유동성의 경직과 함께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강화되면서 지역에서는 반등을 기대됐던 내년 초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도 비관적인 관측을 내놓는 분위기다.
10일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이달 1~10일간 등록된 아파트 매매건수는 90건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동기간에 등록된 매매건수가 413건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거래량이 약 4분의 1수준으로 급감한 것이다.
이와 함께 같은 기간 동안 전월세 거래 건수도 278건이 집계됐으나, 612건으로 확인되며 전월 동기간의 절반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지역에서는 높아진 대출장벽과 함께 탄핵정국으로 빗어진 국내정세의 혼란이 주택 수요자들의 매수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국내정세가 혼란해지면서 동반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 확대로 주택 수요자들이 주택매수에 대한 결정을 보류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내년 초 입주를 앞둔 신규아파트 단지의 경우 탄핵정국의 여파로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짙어지면서 매매·전세 거래가 위축된 상황으로 알려졌다.
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12월부터 다음해 1~2월까지는 이사철로 거래가 조금 있는 편인데 지금은 경기침체에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거래가 잠긴 상황”이라며 “혼란스러운 국내정세로 거래가 위축되면서 부동산들도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라고 말했다.
당초에는 해가 바뀌면 각 시중은행의 대출한도가 초기화되는 만큼 가계대출의 숨통이 트이며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 전환이 있을 것으로 기대됐으나 탄핵정국의 여파로 내년 초 부동산 시장의 개선 가능성마저 불투명해졌다는 관측도 나온다.
아직까지 갈피를 잡지 못한 현 정권의 향방과 차기 정권의 등장 시점이 정치권의 불확실성을 키우며 부동산 시장의 장기침체를 견인할 것이란 점에서다.
서용원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대전지부장은 “지금 현장의 분위기는 탄핵 정국의 영향이 상당히 큰 상태고 전반적인 매수심리의 위축이 심각한 상황”이라며 “탄핵정국에서 가시화된 결정이 나타나기 전까지는 부동산의 경기침체는 장기적으로 갈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의 탄핵 또는 하야여부, 차기 대선의 실시 시점 등이 결정돼야 지금의 안개 정국이 거치고 주택 수요자들도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경식 기자 ksyoon1102@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