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C 시너지 그랜트’ 6년간 총 149억원 지원
모자이크 유전학 활용 암발생 기전 연구 수행

구본경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교정 연구단 단장.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구본경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교정 연구단 단장.기초과학연구원(IBS) 제공

[충청투데이 박현석 기자] 기초과학연구원(이하 IBS) 구본경 유전체 교정 연구단장이 유럽연구위원회(ERC)의 기초연구 지원 프로그램 ‘ERC 시너지 그랜트(Synergy Grant) 2024’에 선정됐다.

ERC 시너지 그랜트는 유럽연합(EU) 최대 연구 및 혁신 프레임워크 프로그램인 ‘호라이즌 유럽(Horizon Europe)’에 포함된 연구지원 프로그램 중 하나로 다학제적 협력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국내 기관 소속 연구자가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구 단장을 포함해 한-유럽 4개 연구그룹으로 조직된 클론이스케이프(ClonEScape)팀에게는 6년간 총 1000만 유로(한화 약 149억)가 지원된다.

구 단장은 유전자 교정 기법을 활용해 제작한 생쥐 및 오가노이드(유사장기) 모델을 이용한 위장관 내 성체 줄기세포 연구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해왔다.

대표적으로 구 단장이 고안한 모자이크 유전학을 통해 생쥐 모델로 암 발생 초기 단계를 추적하는 데 성공한 바 있으며 2022년과 2023년에는 글로벌 학술정보서비스 분석기업 클래리베이트가 선정하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로 꼽히기도 했다.

이번 ‘ERC 시너지 그랜트 2024’에는 전 세계 24개국에서 57개 팀, 201명이 선정됐으며 한국·미국·호주 등 비유럽 국가 소속 연구자들도 포함됐다.

구 단장은 2015년에 신진 연구자 지원프로그램인 ERC 스타팅 그랜트(Starting Grant)에 선정된 데 이어 두 번째 ERC 그랜트에 선정된 것이다.

구 단장은 내년부터 벤저민 사이먼스(Benjamin D. Simons)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 마리아 알코레아(Maria P. Alcolea) 케임브리지 줄기세포 연구소 그룹리더, 다니엘 슈탕거(Daniel E. Stange) 독일 드레스덴공과대 의대 교수와 함께 모자이크 유전학을 활용한 암 발생 기전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구본경 단장은 “암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을 밝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각기 다른 분야에서 세계적 역량을 가진 연구자들과 협력해 암의 기원을 이해하고 질병의 진행 과정을 혁신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전했다.

박현석 기자 standon7@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