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상인·고객 관계 온라인 확장
방문객·매출액 등 소비 증가 기여
[충청투데이 강승구 기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카카오가 함께 추진한 프로젝트 ‘단골시장’이 전통시장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카카오와 함께 추진한 ‘단골시장’에 대한 성과 조사 결과 전통시장 디지털화를 통해 매출액과 각 세대별 소비 증가에 기여했다고 4일 밝혔다.
단골시장은 전통시장 상인과 고객 간의 관계를 온라인으로 확장하는 상생 사업이다.
지난 8월 기준 전통시장 178곳이 참여했으며, 톡 친구로 추가한 이용자 수가 35만명을 돌파해, 연령대 다양화, 방문객 및 매출액 증가 등 참여 상인들의 만족도도 높았다고 설명했다.
소진공과 카카오는 성과 확인을 위해 한국유통학회와 함께 2022년~2023년 단골시장에 참여한 101곳의 시장을 대상으로 카드매출액을 비교해 사업 전 후 1년 간의 매출 및 고객연령층의 변화를 연구했다.
연구 결과 101곳 전통시장의 매출 증감률(A)은 3.09%이며 같은 기간 동일 행정구역에 위치한 타 점포의 매출 증감률(B, 대조군)은 0.35%로, 단골시장 사업의 순효과(A-B)는 2.74%로 확인됐다.
또한 세대별 소비 변화 측면에서도 60대 이상 소비자의 매출이 5.2% 상승한 것으로 연구됐다.
박성효 소진공 이사장은 “카카오와 협력 사업을 통해 전통시장의 디지털화가 촉진되고 있으며 매출액 증가로도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강승구 기자 artsvc3@cctoday.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