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역위원회, 천안지회, 천안민주단체연대회의는 19일 천안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1950년 한국전쟁기 좌우의 대립 속에 희생당한 민간인 희생자 유해발굴 사업이 20일 개토제를 시작으로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사진=이재범 기자.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역위원회, 천안지회, 천안민주단체연대회의는 19일 천안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1950년 한국전쟁기 좌우의 대립 속에 희생당한 민간인 희생자 유해발굴 사업이 20일 개토제를 시작으로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사진=이재범 기자.

[충청투데이 이재범 기자] 1950년 한국전쟁기 천안 직산읍 일원에서 학살된 민간인 희생자 유해발굴 작업이 본격적으로 재개된다.

민족문제연구소 충남지역위원회, 천안지회, 천안민주단체연대회의는 19일 천안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전쟁기 좌우의 대립 속에 희생당한 민간인 희생자 유해발굴 사업이 20일 개토제를 시작으로 진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천안지역 최초의 유해 발굴 사업으로 한국 전쟁기 민간인 학살 사건의 진실 규명이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직산의 경우 인민군 부역 혐의로 약 200명 이상이 불법 살해된 후 암매장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면서 “2018년 지역주민들의 증언과 현장조사를 통해 암매장지를 제시한 지 6년 만에 발굴사업에 착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인근 아산 지역의 경우 2018년부터 시에서 나서서 유해발굴을 추진해 배방과 설화산 등에서만 약 200구 이상의 유해를 발굴하고 신원을 확인했다”면서 “(천안은) 조금 늦게 시작되는 만큼 더욱 철저히 준비해 희생자를 위령해야 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끝으로 “국가차원의 진상규명과 입법화의 토대를 마련하고 역사정의를 실현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했다.

이재범 기자 news7804@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