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KAIST 오송캠퍼스 예타 선정 불발
정부와 AI BIO영재고 사업비 분담 이견
해결 연결고리 지역정치권 역량 ‘갸우뚱’
[충청투데이 김영재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한국판 보스턴 클러스터’라고 지칭한 K-바이오 스퀘어 조성사업의 스텝이 꼬이고 있다.
K-바이오 스퀘어의 핵심인 KAIST 오송 바이오메디컬 캠퍼스타운(이하 KAIST 오송캠퍼스) 조성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 대상사업 선정에서 제외된 것에 더해 오송캠퍼스와 연계교육체계를 구축할 KAIST 부설 ‘충북 AI BIO 영재고’ 설립이 흔들리고 있다.
정상적인 추진을 위해 나서줘야 할 지역정치권의 역량은 미미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 원활한 해결은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론이 있다.
4일 충북도 등에 따르면 KAIST 오송캠퍼스 조성사업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심사에서 선정되지 않았다. 예타 대상이 됐더라도 기획재정부장관이 주관하는 예타를 받고 이를 통과해야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데 아예 대상자에도 끼지 못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월 하순 청주에서 ‘첨단바이오의 중심에 서다, 충북’이라는 주제로 민생토론회를 열고, 이 자리에서 "대학, 연구기관, 바이오 기업을 비롯한 법률, 금융, 회계 같은 사업지원 서비스 기업이 모이는 ‘K-바이오스퀘어’를 조성해 한국판 ‘보스턴 클러스터’로 만들겠다"면서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국정 최고 책임자의 공언에도 KAIST 오송캠퍼스 조성사업이 첫 관문 통과 준비 성격의 예타 대상 명단에 오르지 못하자 K-바이오 스퀘어 계획 전체가 흔들리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지역에서 나오고 있다.
충북도는 하반기에 예타 신청을 재추진하기로 했다.
‘충북 AI BIO 영재고’도 정상궤도를 이탈한 상태다. 정부가 추가로 사업비 부담을 요구해 이에 대한 협의 난항으로 설계가 지연되고 있는 것이다.
충북도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설계 및 공사, 교육과정 개발, 교직원·학생 선발 등 운영방안을 마련하고 2027년 3월에 개교할 계획이었다. MBC충북 보도에 따르면 충북은 당초 50억원 상당의 영재학교 부지만 제공하기로 했다.
그런데 뒤늦게 유치전에 뛰어든 충남이 부지뿐만 아니라 건축비와 연간 운영비 절반을 부담하겠다는 파격조건을 기획재정부에 제기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때부터 충북에 건축비와 연간 운영비 절반을 더 내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에 충북도와 청주시, 충북도교육청은 건축비의 30%를 추가분담하겠다는 입장으로 맞서고 있다. 분담 협의가 답보상태에 빠지면서 지난 4월 진행하려던 설계공모는 시작도 하지 못하고 있다.
‘충북 AI BIO 영재고’ 부지가 시·군 유치 경쟁에서 청주 오송으로 결정된 것은 KAIST 오송캠퍼스와 연계한 교육과정의 효율성 때문이다.
KAIST 오송캠퍼스와의 접근성과 핵심인력양성의 용이성이 핵심이다.
정부와의 얽히고설킨 실타래를 풀기 위해선 지역정치권이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지만 큰 기대는 하지 않은 모습이다.
충북 국회의원 8명 중 청주권 4명 모두 초선인데다 더불어민주당이고, 여당인 국민의힘 소속이 3명이 있지만 소속 상임위원회가 국토교통위원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등 KAIST 오송캠퍼스 조성 사업과 크게 관련성이 없어 정부와 연결고리가 약하다는 것이다.
한 청주지역 정치권 인사는 "대통령이 적극 지원을 공언한 사업이 입구에서 좌초된 것은 심상치 않은 조짐"이라며 "충북도 등 행정기관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어 정치권이 나서서 해결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국회가 어수선한데다 직접 당사자격인 청주권 의원들이 모두 야당에다 초선이어서 역량이 딸릴 수밖에 없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영재 기자 memo340@cctoday.co.kr
